유득공이『발해고』를 고(考)라고 한 것은 오랜 세월이 지난 후라 충분한 사료가 부족해 사(史)가 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 『발해고』의 9고 중 첫 번째인 군고에는 발해의 역대 군왕들의 역사를 다루고 신고는 주로 당과 일본에 사서에 나타난 80여 명의 발해인들에 대해 기록하고 있다. ... 유득공의 저술 현존하는 유득공의 대표적인 저술들로는 『이십일도회고시』, 『발해고』, 『사군지』, 『난양록』, 『연대재유록』, 『경도잡지』, 『고운당필기』, 『영재집』을 들 수 있다.
그는 《발해고》를 통하여 발해의 옛 땅을 회복하여야 한다는 생각을 피력하였고, 《사군지》에서는 북방 역사의 연원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특히 《발 청의 연경(燕京)에 갔다. ... 넷째, 역사서로서 《이십일도회고시(二十一都懷古詩)》 《발해고(渤海考)》 《사군지(四郡志)》가 있다. 그는 역사가라기보다는 시인이었으므로, 그의 역사인식은 문학론에서 비롯되었다. ... 비록 그의 역사관을 체계적으로 보여주는 것은 없지만, 처음에 남방 중심의 역사 인식에서 출발하여 점차로 북방 중심으로 변모해갔고, 그 결과 《발해고》 《사군지》를 저술하여 한국사학사에서
그리고 ‘발해고’는 단계별 추천도서에 맨 처음에 있는 책이였다. 책을 읽는 동안 ‘나도 인문고전을 읽어 보기 시작해볼까?’ ... 이 책을 다 읽은 나는 바로 yes24로 들어가서 ‘리딩으로 리드하라’와 ‘발해고’를 주문했다. 강의 교재로 책을 산 이후로 정말 오랜만에 책을 사는 것이였다.
특히 유득공은 자신의 저서인 『발해고(渤海考)』를 통해 최초로 발해의 역사를 정리하였으며, 발해의 귀속문제를 처음으로 언급하였다.) ... 이는 이종휘(李鍾徽)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이었으며,) 또한 유득공의 발해고에 대해서는 기존의 사학가들이 압록강 이북을 베어버린 결함을 보충하였다고 평하였다.) ... 유득공 저, 송기호 역, 『발해고』, 2000. 李基白, 『韓國史新論』, 一潮閣, 1966. 李萬烈, 『丹齋 申采浩의 歷史學硏究』, 문학과 지성사, 1990.
그는 《발해고》를 통하여 발해의 옛 땅을 회복하여야 한다는 생각을 피력하였고, 《사군지》에서는 북방 역사의 연원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 넷째, 역사서로서 《이십일도회고시(二十一都懷古詩)》 《발해고(渤海考)》 《사군지(四郡志)》가 있다. 그는 역사가라기보다는 시인이었으므로, 그의 역사인식은 문학론에서 비롯되었다. ... 비록 그의 역사관을 체계적으로 보여주는 것은 없지만, 처음에 남방 중심의 역사 인식에서 출발하여 점차로 북방 중심으로 변모해갔고, 그 결과 《발해고》 《사군지》를 저술하여 한국사학사에서
우리가 알고있는 ‘발해는 한국사이다.’라는 구절은 서문에 잠시 등장할 뿐 그 전체를 구성하지는 않는다고 한다. ... 발해가 한국사에 포함된다고 하는 주장의 제 1 근거가 되는 에 ‘대조영은 본디 말갈인이다.’라는 구절이 있다고 한다. ... ‘발해’라는 나라는 조선 정조 8년 유득공이 를 저술하기 전까지는 한국사의 범주에 포함되지 않았다가 그 이후 발해에 대한 여러 가지 연구의 결과 한국사에 포함된 나라라고 알려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