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개론)직업 목적 한국어 교육과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의 특징을 비교하여 기술하시오.
- 최초 등록일
- 2021.12.07
- 최종 저작일
- 2020.09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개론)직업 목적 한국어 교육과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의 특징을 비교하여 기술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직업 목적 한국어 교육의 개념
2. 직업 목적 한국어 교육의 실천
3.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의 개념
4.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의 실천
본문내용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과정은 그 학습자들의 수요 및 목적에 따라 다양한 양상으로 실현되며, 특정 목적에 따라 차별화된 교육과정이 실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직업 목적의 한국어 교육과 학문 목적의 한국어 교육의 특징을 비교하고자 한다.
1. 직업 목적 한국어 교육의 개념
직업 목적의 한국어 교육은 근로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외국인 직장인들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통한 한국과 한국 기업 문화에 대한 이해와 한국인 동료와의 관계 형성, 성공적 직무 수행을 교육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직업 목적의 한국어 교육은 한국 사회의 특수성으로 인해 외국인들의 직종이나 근로 조건 및 근무 환경에 따라 이주노동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과 전문직 종사자들을 위한 비즈니스 목적 한국어교육의 두 방향으로 세분화 되어 있다(유수정, 2008)
먼저 이주 노동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에 대한 연구는 특정 목적 한국어 교육에 대한 반성적 차원에서 시작되었다. 구민숙(2001)은 이주 노동자들의 열악한 한국어 교육 현황과 그들의 한국어 수업 장면에서 사용되는 한국어 교재의 여러 문제점을 지적하며 이들에게 필요한 실질적 교재를 구성하는 방안에 대해 논한 바 있다. 이
< 중 략 >
4.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의 실천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은 Study Korea 프로젝트의 영향으로 국내 유학생이 급증하며 그 수요가 높아졌다. 김유미·박동호(2009)에 따르면 국내 14개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외국인 유학생 대상의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은 크게 4가지 유형으로 실천되고 있다. 첫째, 대학 입학 전 어학과정과 연계하여 입학 후 대학 교육과정에서 한국어 교양과목과 전공과목을 구분하는 유형, 둘째, 입학 후 과정에 어학연수(기초 한국어)와 교양/전공 한국어 과정을 통합한 유형, 셋째, 입학 후 과정에 등급에 따라 교과목을 교양과 전공으로 구분한 유형, 넷째, 일반적 등급에 따라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과목만 제시한 유형으로 실천되어지고 있다.
참고 자료
유수정(2008). 요구 분석을 통한 직업 목적의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구민숙(2001). 외국인 노동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교재구성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최윤곤(2003).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 한국어문학연구, 41.
이덕희(2004). 요구분석을 통한 학문목적의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김지형(2013).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의 체계와 내용. 영주어문, 25. 75-106.
김유미·박동호(2009). 학문 목적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 연구. 언어와 문화, 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