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보고서 미생물의 생화학적 활성실험
- 최초 등록일
- 2020.12.13
- 최종 저작일
- 2020.05
- 4페이지/
MS 워드
- 가격 1,000원

목차
1. 실험제목
2. 실험목적
3. 실험배경
4. 재료 및 방법
5. 실험결과
6. 고찰
7.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실험제목 : 미생물의 생화학적 활성 시험
2. 실험목적 : 미생물의 생화학적 활성을 시험해보고 이를 통해 미생물을 분류한다.
3. 실험배경
당 분해시험
탄수화물 발효 여부를 통해 세균을 감별한다. 탄수화물을 균체가 분비하는 체외효소에 의해서 다당류는 이당류 혹은 단당류로 분해되며, 분해산물은 대개 발효과정 또는 시트르산회로와 같은 당 분해과정을 통해 알코올, 유기산, 가스 등으로 분해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탄수화물의 발효산물의 존재 유무로 균을 동정할 수도 있고, 균의 생리적 특성도 규명할 수 있다.
- Phenol red 포도당 액체배지를 이용하며, 기체생성을 확인하기 위해 Durham관을 사용한다.
- MacConkey Agar(MacA)배지를 사용하면 젖당을 발효하는 균을 동정할 수 있다. 젖산발효시 젖산 생성으로 pH가 낮아지게되고, 콜로니가 붉은색으로 변화하게 된다. 젖산발효를 하지 않는 세균은 반투명상태로 남아있다.
- EMB(Eosin Methylene Blue) Agar 배지를 사용하면 그람음성 장내세균을 동정할 수 있다. 메틸렌블루를 사용한다.
참고 자료
실험 미생물학(미생물 면역분과학회, 2013, p.52~61)
Wikipedia, “pseudomonas aeruginosa”, https://en.wikipedia.org/wiki/Pseudomonas_aeruginosa
호기성과 혐기성균,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kkk36963&logNo=50041673499&proxyReferer=https%3A%2F%2Fm.search.naver.com%2Fsearch.naver%3Fsm%3Dmtp_hty.top%26where%3Dm%26query%3D%25EB%258C%2580%25EC%259E%25A5%25EA%25B7%25A0%2B%25ED%2598%25B8%25EA%25B8%25B0%25EC%2584%25B1%2B%25ED%2598%2590%25EA%25B8%25B0%25EC%2584%25B1
식품의약품안전처, 김밥 중 황색포도상구균의 위해평가, p.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