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철학과 교육심리학
- 최초 등록일
- 2020.06.08
- 최종 저작일
- 2020.05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목차
Ⅰ. 교육철학의 의미
Ⅱ. 교육철학의 방법과정
1. 전통적 교육철학
2. 미국 4대 교육철학
3. 현대 교육철학
Ⅲ. 교육심리학의 의미
1. 심리학의 역사 및 의미
2. 교육심리학의 의미와 역할
3. 교육심리학의 이론들
1)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2) 비고츠키의 사회문화이론
3) 행동주의이론
4) 인지주의이론
Ⅵ. 결 론
본문내용
Ⅰ. 교육철학의 이해
철학이란, 인간과 세계에 대한 근본 원리와 삶의 본질 따위를 연구하는 학문. 흔히 인식, 존재, 가치의 세 기준에 따라 하위 분야를 나눌 수 있다. 활동으로서의 교육철학이란 ① 교육의 문제, 행위, 제도, 쟁점 등 교육의 전반적인 영역들을 ‘철학적으로 탐구하는 활동’, ② ‘존재해야 할 것들’에 대한 비전, 희망, 열망 ③ 교육을 철학적으로 생각하고, 교육의 본질적 의미와 기본적인 문제를 전체적, 체계적으로 구명하려는 노력이다. 교육철학의 핵심적 과제, ① 교육 개념의 명료화를 통해 교육에 대한 개념적 혼란을 해소 ② 교육과 교육 아닌 것을 명확히 구분, 교육활동의 적합성 평가 ③ 교육적 판단과 행위의 기본적 방향과 규칙 제공한다.
Ⅱ. 교육철학의 방법과정
1. 전통적 교육철학
① 관념론 : 궁극적 가치, 절대적 목적에의 접근가능성 내지는 실현 가능성, 그리고 인격과 인류의 완성가능성을 믿고, 이러한 신념에 입각하여 모든 현실적 존재 및 실천을 이념적 목적에 비추어 규제하고 방향 잡으려는 세계관 (플라톤, 데카르트, 칸트, 헤겔 ..)
② 자연주의 : 물질적인 것, 현실적인 것을 유일한 실재로 인정하고, 현실적으로 존재하는 악과 더러움을 객관적으로 수용함, 근대 자연주의자들은 자연만이 인간이 심사숙고할 유일하고 가치 있는 실재이며, 인간은 이 실재의 정점이라고 봄
- 정신적인 것, 초현실적인 것을 유일한 실재로 여기고 현실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가치를 의지적으로 지향한 관념론과 상극적으로 대립됨
③ 프래그머티즘 : 사변적 절대주의에 반대하고 경험적 상대주의에 기초한 철학체계로서 미국 특유의 철학, 교육이란 생활문제해결을 위한 경험의 재구성의 과정
- 교육은 필요와 욕구에 의하여 동기가 부여되어야 함
- 교육내용은 사회적 활동이 되어야 함
- 교육방법은 활동적이어야 하며, 교육은 사회발전을 위한 가장 근본적인 수단
참고 자료
이경범 편저, 교육학논술. 배움. 2019
김문성 편저, 심리학개론. 스마트북. 2013
다솜마루, 통하는 심리학. 삼양미디어. 2011
이병승, 교육철학탐구.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2019
하수경, 교육심리학. 공동체.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