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채호] 단재 신채호
- 최초 등록일
- 2002.05.21
- 최종 저작일
- 2002.05
- 1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잘 활용하세여~~~
목차
I. 서론
II. 본론
1. 신채호의 생애
2. 신채호의 주요 활동과 업적
1) 역사저술 활동
2) 문학저술 활동
3) 언론 활동
4) 독립 운동
III. 결론
본문내용
한일합방 당시도 일본은 그들의 침략정책을 정당화하기 위하여 사학자들을 동원하여 역사를 왜곡하였다. 나아가 타율성론, 반도적 성격론, 정체성론을 앞세워 한국민족을 패배주의적 운명론에 빠지게 함으로써 항일운동의 싹을 자르려 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식민사학에 대해 당시 의식 있는 한국의 지식인들은 이의 허구성을 타파, 극복하려 하였다. 그 한 일파가 민족의 혼과 정신을 일깨우려한 민족주의사학이었다.
민족주의사학의 대표적 인물로 신채호를 들 수 있다. 신채호는 20세기 초 우리 나라가 일제의 침략으로 민족과 국가가 위기에 처했을 때 국권회복을 위해 史筆을 붙잡고 민족의 주체성을 밝히며 봉건제도와 제국주의에 반대하는 투쟁을 전개하고 독립운동에 참여하여 혁명운동을 한 사학자요, 계몽사상가이며 독립운동가였다.
역사는 '과거와 현재의 대화'라는 E. H. Carr의 말처럼 오늘날에도 계속되고 이는 일본의 망언과 역사왜곡 등을 슬기롭게 해쳐나가기 위해 당시에 민족주의 사학으로 일제에 대항하였던 신채호 선생의 사상과 그 업적을 살펴 우리의 교훈으로 삼고자 한다.
참고 자료
1. 이홍식, 『國史大事典』, 백민사 p 847
2. 신채호, 『朝鮮上古史』, 단재신채호선생 기념사업회, PP 9∼14
3. 이이화, 『이야기 인물 한국사 1 - 사상과 학문의 주역들』, 한길사, PP 271∼278 (1993)
4. 한겨레신문사, 『발굴 한국현대사 인물Ⅰ』, PP 17∼24 (1991)
5. 신일철 , 『申采浩의 歷史思想硏究』, 고려대학교 출판부, 1983
6. 이만열 , 『丹齋 申采浩의 歷史學 硏究』, 문학과 지성사, 1990
7. 임중빈 , 『丹齋申采浩一代記, 범우사』,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