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재(丹齋) 신채호(申采浩)의 사상(시기별 그의 사상변화)』
- 최초 등록일
- 2020.05.09
- 최종 저작일
- 2013.06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이용하시는 한글프로그램 버전이 낮은 경우에는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한글 뷰어 프로그램 또는 상위버전 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단재(丹齋) 신채호(申采浩)의 사상(시기별 그의 사상변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신채호의 생애
3. 신채호의 사상
1) 유학자에서 개화자강파로의 변모(1880~1905)
2) 애국계몽사상(1905~1910)
3) 민족주의 사상(1905~1923)
4) 무정부주의 독립사상(1923~1936)
4. 나가며
본문내용
1. 들어가며
식민지 시기는 우리나라에 많은 사상과 그것을 바탕으로 독립운동이 일어나던 시기이다. 이시기에는 많은 독립운동가들이 독립을 위해 정치, 외교, 사상적으로 많은 활동이 일어나던 시기이다. 이 시기 언론인, 사학자, 독립운동가, 무정부주의자, 민족주의자 등의 다양한 스팩트럼으로 구분되는 신채호를 통해 그가 자라면서 어떤 사상에 영향을 받아 그것을 토대로 독립운동에 힘썼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2. 신채호의 생애
신채호는 1880년 11월 7일 충청남도 대덕군 산내면 어남리 도림마을에서 한 농촌 선비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고령신씨(高靈申氏) 신숙주의 18대손으로 태어났다. 할아버지 신성우(申星雨)는 문과에 급제하여 사간원 정언까지 지냈으나 아버지 신광식(申光植)은 한미한 농촌선비였으며, 신채호가 8세 되던 해에 젊은 나이로 작고했다. 이후 신채호는 조부를 따라 청원군 낭서면 귀래리 고두미 마을로 옮겨가 서당 훈장을 하는 할아버지의 가르침을 받으며 성장했다. 그는 소년기에 할아버지의 슬하에서 자랐고, 할아버지 서당에서 한문과 유학의 경전들을 공부하였다. 그는 16세(1895) 때에 향리에서 풍양 조씨와 결혼했다. 그의 결혼은 할아버지와 의사에 따른 가혼이었기 때문에 그의 조혼은 처음부터 별 의미를 갖지 못하고 실패하고 만다.
참고 자료
단재신채호선생기념사업회, 『단재 신채호와 민족사관』,형설출판사 ,1980.
신용하,「신채호의 생애와 사상과 독립운동」,『계간 사상』, 사회과학원, 1991.
김인덕·조규태,『독립운동 사상연구 : 신채호를 중심으로』, 보훈연수원, 1996.
배용일, 『박은식과 신채호의 사상의 비교연구』, 경인문화사, 2002.
신용하, 『증보 신채호의 사회사상연구』, 나남출판, 2003.
신복룡, 「신채호의 무정부주의」, 『동양정치사상사』7,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