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채호의 생애와 역사인식

*병*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21.05.10
최종 저작일
2021.03
12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2,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신채호의 생애와 역사인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신채호의 생애와 저서

Ⅲ. 신채호의 역사인식
1. 영웅론과 신국민
2. 한국사의 체계화
3. 직접 의열투쟁

Ⅳ. 맺음말

참고 문헌

본문내용

Ⅰ. 서 론
조선역사학의 선구자로 평가받는 단재(丹齋) 신채호(申采浩)는 일제 강점기에 식민사관으로 우리 민족을 말살하려는 일제에 맞서 민족주의 역사학으로 국민들로 하여금 애국심을 고취시켜 나라를 되찾고자 한 인물로 유명하다. 비범한 머리와 뛰어난 학식, 날카로운 안목, 촌철 같은 문장력으로 시대를 잘 타고 났다면 세계적인 학자가 되었을 그였지만 오천 년의 역사 중에 가장 암울했던 일제 강점기에 태어나 학자의 길보다는 나라의 독립 쟁취라는 역사적 과제를 수행하다가 그의 나이 57세라는 짧은 생으로 마감했다. 57년의 生 동안 그가 남긴 발자취는 실로 컸기에 57년이라는 생이 더 아쉽기만 하다.이에 단재의 생애와 저서를 알아보고 그가 활동한 시기를 세 시기로 나누어 역사인식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Ⅱ. 신채호의 생애와 저서
단재는 1880년 12월 8일(음력 11월 7일)에 아버지 신광식(申光植, 1849~1886)과 어머니 밀양박씨 사이에서 둘째 아들로 당시 충청도 회덕현 산내면 도림리, 지금의 대전광역시 중구 단재로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고령이며 신숙주(申叔舟, 1417~1475)의 18세손이다. 대전은 조부 신성우의 처가로 당시 사헌부 장령(정4품)으로 재직 중에 1873년 부친상을 당하자 삼년상을 치르려 벼슬을 사임하고 낙향하였는데 큰 형 신약우가 삼년상을 주관하자 신성우는 대전의 처가에서 요청한 훈장 초빙을 받아들여 아들네를 데리고 대전으로 이사하게 된 것이다. 단재가 태어난 1880년, 여름에 신성우는 사헌부 장령을 다시 제수 받고 한양으로 가고 그해 겨울 12월에 단재가 태어나게 된 것이다. 그러다가 아버지 신광식이 병에 걸려 투병하게 되자 서둘러 고향 귀래리로 돌아오고, 조부 신성우 역시 1885년 서둘러 관직을 사임하고 귀래리로 돌아와 가족들을 돌보지만 이듬해 1886년에 아버지 신광식은 사망하였는데 단재 나이 7세 때이다. 조부 신성우는 귀래리로 내려와서도 서당을 열어 인근 주변의 아이들과 손자 재호와 채호를 가르치며 생활해 갔다.

참고 자료

『단재 신채호 전집』,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8.
신채호 원저, 박기봉 옮김, 『조선상고문화사(외)』, 비봉출판사, 2007.
신채호박은식, 윤재영 역해, 『조선상고사/ 한국통사』, 동서문화사, 1987.
김하돈, 『단재기행』, 단재문화예술제전추진위원회, 2015.
申一澈, 『申采浩의 歷史思想硏究』, 고려대학교 출판부, 1981.
김동훈·허경진·허휘훈 편 『신채호 산문집』, 보고사, 2010.
김수자, 「20세기 신채호의 18세기 안정복에 대한 역사인식」, 『동방학』, 33, 2015.
김수자, 「신채호의 『이태리건국삼걸전』 번역 목적과 ‘영웅상」, ’『한국민족운동사연구』 80,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4.
盧武志, 「舊韓末 丹齋 申采浩의 歷史認識」, 『중앙사론』 10,11,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1998.
박걸순, 「1920년대 申采浩의 역사인식과 역사서술」, 『역사와 담론』 50, 호서사학회, 2008
박걸순, 「申采浩의 아나키즘 수용과 東方被壓迫民族連帶論」, 『한국독립운동사연구』, 38,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1.
정영순, 「제2장 단재 신채호의 역사사상에 관한 연구」, 『민족사상』 5, 한국민족사상학회, 2011.
趙恒來, 「朝鮮革命宣言의 背景과 理念」, 『한국민족운동사연구』10권, 한국민족운동사학회, 1994.
*병*
판매자 유형Diamond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한글파일 한국역사학과 민족사학의 논고 - 일제강점기의 역사학과 한국 연구를 중심으로 - 12페이지
    간의 한국 근대사를 일제의 침략에 초점을 맞추어 서술한 『한국』에는 ... 한국역사학과 민족사학의 논고 - 일제강점기의 역사학과 한국 연구를 ... 한국 연구와 한국근대사학의 성립과 발전하는 것에 대해 언급한 후에
  • 한글파일 백하일기 白下日記 에 나타난 1910년대 재만 한인의 삶 11페이지
    』,(于史 趙東杰 저술전집 12), 역사공간. 이명종, 2018, 『근대 한국 ... 대한 희망과 염원이 상세하게 드러나는 기록이므로 오늘날 만주지역 독립운동사 ... 론 1910년 경술국치 직전부터 만주는 국내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하기
  • 한글파일 일석 김태희의 상과 계몽운동 7페이지
    역할을 하였다. 一石은 평생 우리나라독립을 위한 활동을 하다 독립 ... 청주의 독립운동가요, 근대 교육의 선구자이며, 계몽운동가인 일석(一石 ... 받지 않으려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태도는 한국인의 입장에서 보면 반민족
  • 한글파일 일제강점기 대종교의 민족운동역사 8페이지
    기 망명 인의 고구려 발해 인식」,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연구소. - ______, 「일제 ... 소, 1998. - 박걸순, 「국사학운동」, 『국학운동』, 한국독립운동사편찬위원
  • 한글파일 항일 독립운동가 이상설의 이념과 역사 8페이지
    년대 국외항일운동 Ⅰ-만주·러시아』,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 , 2007, 『한국독립운동의 이념과 방략』,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 2017, 『이상설 전』, 진천향토연구
  • 한글파일 이병도의 생애와 근대사학 10페이지
    이병도의 생애와 근대사학 한국근대사, 한국, 이병도, 민족사학, 역사 ... . 그러나 한국의 실증사학자들은 여전히 역사실의 객관성에 대한 믿음을 ... 하『한국고대연구』, 박영, 1976. 조동걸 외, 『한국역사
  • 한글파일 항일 독립운동가 황옥의 생애와 역사적 평가 9페이지
    유보하였다. 그러나 김영범은 1997년 한국근대민족운동과 의열단 연구서에서 ... 紀念論集 , 동아일보 編, 1969. 2) 김승학, 한국독립 ,대한 ... 항일 독립운동가 “황옥”의 생애와 역사적 평가 목 차 Ⅰ. 서 론 Ⅱ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 프레시홍 - 주꾸미
  • 르네셀 화장품
신채호의 생애와 역사인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