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논문계획서"에 대한 내용입니다.목차
1) 논문 연구주제2) 연구방법 계획과 개요
3) 논문의 예상 목차
4) 논문의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논문 연구주제“ 북한의 인권 실태 파악과 이에 대한 대한민국 국민들의 인식 확인”
2) 연구방법 계획과 개요
최근 미국 국무부에서는 ‘2020 국가별 인권보고서’를 발표했는데, 북한 정권을 향해서 지독한 인권침해에 대한 책임을 지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리고 전 세계에서 가장 최악 중에 하나인 북한의 지독한 인권침해에 대한 기록을 매우 우려의 시선으로 주시하고 있음을 말했다. 보고서의 내용을 보면 북한의 보안부대가 수없이 많은 인권유린을 자행하는 것과 당국에 의해 저질러진 불법적인 살해와 강제 실종 등을 말하고 있다. 북한의 인권 실태가 국제적인 문제로 부상하게 된 것은 1988년경에 아시아워치와 미네소타 변호사 국제인권위원회에서 ‘북한의 인권’을 공동으로 발간하면서부터였으며, 1997년과 1998년 두 차례에 걸쳐서 유엔인권소위원회에서 결의문을 채택하면서 심각한 국제적인 문제로 인식하게 되었다. 2003년부터 북한의 인권문제를 유엔인권위원회 결의안으로 다루었으며, 2004년에는 북한의 인권문제 특별보고관을 임명하여 유엔차원에서 심도 있게 다루기 시작했다. 지난해까지는 16년 연속으로 북한의 인권결의를 채택했는데, 2014년 3월 17일 COI 최종 조사보고서에서 북한의 인권침해 행위가 체계적이고 광범위해 국제법상으로 반인도 범죄에 해당한다고 명시하기도 했다.
참고 자료
강명옥(2006). 북한인권과 국제사회-개선전략과 비교분석. 연세대학교박사학위논문.경대규(2006). 북한인권문제:한국과 국제사회의 역할.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고태우(1995). 북한의 인권실태:사례를 중심으로. 호서대학교 통일문제연구소 주최 광복 50주년 기념 통일문제 학술심포지엄 발표논문.
김근식(2002). 북한의 인권:안으로부터의 시각. 한반도의평화와 인권2.
김동한(2008). 한·미·일 북한인권법 비교분석. 북한학연구4권 2호.
김병로(2008). 기존 북한 인권실태 조사방법의 경향과 문제점. 국가인권위원회.
김중섭(2001). 21세기의 민주주의와 인권 사상. 민주주의와 인권, 제1권 2호.
배성인(2004). 국제사회의 대북 인도적 지원. 국제정치논총, 제44집 1호.
이동윤 ·백종은(2008). 인권 문제에 대한 북한의 인식과 정책적 대응:외부 압력에 대한 내부 변화의 한계. 21세기정치학회보, 제18집 1호.
이장희(2003). 북한인권문제에 대한 국제법적인 이해와 전략적 접근. 국가인권위원회, 북한인권 관련 전문가 간담회 회의 자료집.
임성은(2018). 북한인권문제에 대한 국내적·국제적 노력의 한계점. 대진대학교 통일대학원 석사학위 연구보고서.
제성호(1994). 인권문제에 대한 북한의 태도. 국제법학논총, 제39권 제1호.
황재옥(2011). 북한의 인권인식과 대응유형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국가인권위원회(2007). 북한인권 관련국가, 국제기구 및 INGO의 동향분석
(2000-2007). 서울:국가인권위원회.
김국신·김연수·서보혁(2010). 북한 개방화와 인권개선 방안연구. 서울:통일연구원.
김병로(1997). 북한인권문제와 국제협력. 서울:민족통일연구원.
김비환·유홍림 등(2010). 인권의 정치사상. 서울:이학사.
김수암·이금순(2008). 국제사회의 인권개선 전략:이론과 실제. 연구총서 2008-10. 통일연구원.
서보혁(2011). 코리아 인권 -북한 인권과 한반도 평화-. 서울:책세상.
윤영관·김수암(2010). 북한인권 개선, 어떻게 할 것인가. 한반도평화연구원 총서 6. 서울:한울아카데미.
이 욱(2009). 국제인권협력체제 구성을 통한 북한인권 문제 대응에 관한 연구.
이정훈(2015). 북한인권 실태와 인권정책 로드맵. KINU 통일+ 정세와 쟁점 분석.
최의철(2007). 유럽연합의 인권정책과 북한. 서울:백산자료원.
국민 64.6% “北 인권 문제에 적극적으로 개입해야”, NEWS1, 2020.12.29.
북한 인권 외면한 평화는 가짜다, 중앙일보, 2020.4.28.
미 2020 인권보고서 발표... “북 지독한 인권침해 책임지게 할 것”, 연합뉴스, 2021.3.31.
북한의 국호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인 이유, NK·NEWS.ORG, 2015.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