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성교육이론연수1
- 최초 등록일
- 2000.09.22
- 최종 저작일
- 2000.09
- 6페이지/ MS 워드
- 가격 무료
다운로드
목차
인성 교육을 어떻게 할 것인가?
1. 인성 교육의 필요성
2. 인성 교육의 방향
2.1. 인성 형성과 발달
2.1.1. 인성의 개념
2.1.2. 인성의 발달
2.1.3. 인성 발달의 기본 원리
2.2. 가정 교육의 강화
2.3. 성숙한 민주 시민 교육
2.4. 미래 사회에 대비하는 인성 교육
2.5. 학교와 가정의 연계를 통한 지도
3. 새학교 문화 창조와 인성 교육
3.1. 교육 정책과 방향
3.1.1. 가정의 도덕 교육 강화
3.1.1.1. '공부만 중시하는 가정'에서 '도덕성을 중시하는 가정'으로 전환
3.1.1.2. '획일적인 점수에 집착하는 가정'에서 '자녀의 다양한 개성을 살리는 가정으로 전환'
3.1.1.3. 가정과 학교의 연계 (학교 운영에 학부모 참여, 아동 상담, 교육 상담 강화)
3.1.2. 학교의 인간화·사회화
3.1.2.1.학교를 '지식 위주의 교육의 장'에서 도덕성 기초 위에 지식 교육이 이루어지는 장으로 전환
3.1.2.2.'교사에 의한 타율적 규율과 제재' 중심의 교육에서 '학생들의 자발적 참여' 중심의 교육으로 전환
3.1.2.3.'사회 문제에 무관심한 교육'에서 '사회 문제에 적극 대응하는 교육'으로 전환
3.1.2.4.기본 생활 규범의 확립 및 습관화 지도 (인사, 식사, 언어, 질서 예절, 공중 도덕, 환경 보호, 청결, 절약, 정직 등)
3.1.2.5.특별 활동 강화(독서 클럽, 연극반 등 건전한 또래 집단 형성)
3.1.2.6.사회 봉사 활동 강화(주말 및 방학 기간 중 봉사 활동 프로그램 운영)
3.1.2.7.자율성과 협동성을 장려하는 수업 체제(토픽 중심, 주제 중심 수업, 소집단 수업, 개별화 수업, 협력 학습 조별 학습 확대)
3.1.2.8.인성 교육과 협력 학습을 조장하는 평가 방식으로 개선(개인 석차 폐지, 우등상 폐지, 교과별 시상제, 노력상, 봉사상, 선행상 확대, 팀 평가제, 특별 활동, 자치 활동, 봉사 활동 평가 비중 확대)
3.1.2.9.인성 교육의 날 운영(책가방 없는 날)
3.1.3. 사회 교육 기능 강화
3.1.3.1.자극적이고, 관능적인 성인 문화에서 건전 문화로 전환
3.1.3.2.매스컴의 청소년 건전 문화 발전을 위한 책임 강화
3.1.3.3.학교 주변 환경 개선
3.1.3.4.도덕적인 사람이 손해 보는 사회'에서 '도덕적이지 않은 사람은 성공하지 못하는 사회'로 전환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