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심리 1장 ~ 4장 요약 / 교육 심리학의 이해, 발달과 개인차, 행동주의와 사회인지 학습, 학습동기
- 최초 등록일
- 2022.06.03
- 최종 저작일
- 2021.10
- 1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교육심리 1장 ~ 4장 요약 /
교육 심리학의 이해, 발달과 개인차, 행동주의와 사회인지 학습, 학습동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장 교육 심리학의 이해
2장 발달과 개인차
3장 행동주의와 사회인지 학습
4장 학습동기
본문내용
[1장] 교육 심리학의 이해
1. 교육심리학의 학문적 성격
교육심리학의 의미
-교육에 내재되어 있는 심리적 현상을 탐구하여 교육에 도움을 주기 위한 학문
-학문분야로 확립한 학자:Thorndike
-교육심리학과 심리학은 공통점이 있지만, 교육심리학은 심리학의 단순한 응용분야가 아니다.
일반심리학과 교육의 차이점
-목적
일반) 인간행동에 관한 보편적인 법칙확립
교육)학습자의 특성 변화
-방법
일반)정밀하고 경제적인 방법
교육)행동을 의미있게 변화시킬수 있는 방법
-특징
일반)가치중립적, 기술적 특징(=설명)
교육)가치지향정, 처방적 특징
-상황
일반)통제된 실험실
교육)자연상태에 가까운 교실
교육심리학의 목적과 기능
-교육심리학의 주된 임무: 교육전략(목표를 100%달성한다)과 방법의 문제, 교육의 적기와 발달과업의 문제
+인간의 학습에 있어 행동을 이해, 예언 및 통제하는데 있다.
-교육심리학의 주요기능: 여러 가지 교육 법칙을 탐색 평가, 교육문제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방법 제공, 현재 수행되는 교육활동에 대한 수정+검토+제시, 현 수업방법을 평가 개선
2. 교육심리학의 영역
-발달심리학적 영역: 학습자의 성장 발달
-사회심리학적 영역: 학습 및 교육환경
-학습심리학적 영역: 교수-학습과정
-인성심리학적 영역: 성격 및 적응과 이에 대한지도
-심리측정 영역: 교육효과 및 학습자 심리에 대한 측정 평가
+같은 나이, 조건에 다른 실적인 이유: SES(소셜이코노믹 스테이스)가 다르기 때문이다(=사회경제적지수, 경제적수준+부모님의 교육수준)
[2장] 발달과 개인차
1. 인간발달의 이해
인간발달의 이해
-발달과업; Havighurst(=발달숙제)
-학습자의 발달과 교육의 적정 시점에 대한 논의에서 제기된 개념 중 하나
발달의 원리
-발달은 일정한 방향성과 순서가 있다.
-발달은 연속적으로 일어나지만 발달의 속도는 일정하지 않다.
-발달은 분화와 통합의 과정을 밟는다.
-발달에는 개인차가 있다.
Piaget이론의 기본견해
-지능은 환경에 적응하는 능력이다.: 적응과정에서 인간은 내부에 존재하며 반복순환적인 행동과 경험을 통해 세상에 대한 이해의 틀인 인지구조 혹은 도식을 구성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