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학 기원과 역사
- 최초 등록일
- 2022.12.21
- 최종 저작일
- 2015.12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행정학 기원과 역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고전적 행정학 : 1880~1930년대
2) 반발적 행정학 : 1930~1940년대
3) 행태과학과 의사결정연구의 발달 : 1950~1960년대
4) 비교행정과 발전행정 : 1960~1970년대
5) 신행정학 : 1960년대 말
6) 정부실패와 대통령론 : 1970년대 이후
7) 신공공관리와 신국정관리론 : 1980년대~
3. 결론
본문내용
현대행정학은 19세기 말엽 미국에서 Wilson과 굿노우에 의하여 시작되었다. 윌슨이 1887년에 발표한 논문 '행정의 연구'는 행정학 성립의 기초가 되었고, 굿노우의 저서 '정치와 행정'은 행정학을 독자적인 학문으로서의 터전을 닦아 놓았다. 그 후 행정을 기술적 과정으로 파악하고 능률과 절약 원리를 중시하는 고전적 행정이론이 확립되었는데, 이때의 행정학은 정치와 행정을 구별하는 2원론적 입장으로, 행정을 정치에 의해 수립된 정책의 집행기술로 보았다. 그러나 1940년대부터는 이와 같은 기술적 행정학을 비판하며 기능적 행정학이 대두되었다.
행정을 일련의 의사결정 과정으로 파악하고 거기에 사회심리학적 접근을 시도한 사이먼의 행정행태학파가 형성되고, 그 후 1960년대에 들어서면서 행정이 급변하는 상황에 적응하고 사회를 발전시키기 위해 적극적으로 발전 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는 발전행정학이 생겨 났다. 최근에 이르러서는 사회적 형평성을 강조하는 신행정학파, 행정에 대하여 미시경제학적 접근을 시도하는 신행정경제학파 등 다양한 조류가 형성되고 있다.
참고 자료
미국 행정학의 주요발달과정 - 시대별 구분(1) 기술적 행정학(고전적 행|작성자 a3825r8296d
[네이버 지식백과] 행정학 [行政學, (science of) public administration] (행정학사전, 2009.1.15, 대영문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