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학의 역사
- 최초 등록일
- 2021.01.20
- 최종 저작일
- 2003.10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이용하시는 한글프로그램 버전이 낮은 경우에는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한글 뷰어 프로그램 또는 상위버전 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역사학의 역사
역사학의 전근대~현대까지 발전 및 경향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제1절 근대 역사학의 성립
1. 전근대사학의 발전
2. 근대사학의 기초
3. 랑케 사학의 성립
2) 제2절 현대 역사학의 발전
1. 정치사의 극복
2. 사회경제사의 성장
3. 사상사의 성립
4. 문학적 역사학의 재기
3) 제3절 역사학의 경향
1. 현대역사학의 위기와 대응
2. 보수사학과 마르크스 사학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모든 학문이 그러하듯이 역사학도 부단히 자기반성을 거듭해 왔다. 특히 현대역사학은 랑케 사학의 붕괴와 전체주의역사학의 대두 등의 변화로 인해 깊은 자기 비판기에 들어서고 있다. 이러한 자기비판의 일환으로 역사가들은 사학사에 깊은 관심을 보이기 시작하였다. 역사학은 문자 그대로 '역사학의 역사'이므로 역사학이 지닌 많은 측면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야 한다. 종래의 역사사는 주로 철학자 내지는 철학적 역사가에 의해 서술되었기 때문에 역사학의 철학적 측면만을 다루는 경향이 없지 않았다. 또한 역사학의 역사를 방법론적 측면에 치우쳐 서술할 때에는 역사가 개개인의 연구업적을 요약해서 소개하는 편람이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번 발제문을 통해 역사가 개인의 업적을 분석하기보다는 전체 역사학에서 역사가가 차지하는 위치를 알고 역사의 흐름을 파악하는 것을 요점으로 한다. 본론에서 우리는 역사가들의 인맥을 고대, 중세, 근대, 현대로 나눠서 역사가들의 사상이 후대에 끼친 영향과 상호관련성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역사학이 발전된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자.
Ⅱ. 본론
제1절 근대 역사학의 성립
1. 전근대사학의 발전
역사학의 역사는 매우 오래고 많은 변천을 거듭해 왔다. 역사의 아버지라 불리우는 헤로도투스가 '역사'를 저술하기 이전에도 이집트, 바빌론, 헤브라이 등등 오리엔트 세계의 신정사가 있었다. 신정사란 신화적 역사를 말하는 것으로 창세기전이나 서사시 같은 것을 말한다.
헤르도토스의 역사서술은 일화와 삽화를 많이 담고 있으며 신은 인간의 오만에 대해서 보복할 것이라는 것을 믿었다. 하지만 그는 과거의 사실을 시가 아닌 실증적 학문의 대상으로 삼은 최초의 그리스인으로, 그의 저서인 '역사'는 그리스 산문사상 최초의 걸작으로 평가된다.
튜키디데스는 신화적 역사관을 비판한 최초의 역사가라 일컬어지며, 헤로도투스 조차도 완전히 탈피하지 못한 신화적 역사서술에서 벗어나 엄밀한 사료비판, 인간심리에 대한 깊은 통찰을 중시하였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