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교과교육론(역사교육과 역사교육학의 의미)
- 최초 등록일
- 2021.07.09
- 최종 저작일
- 2015.03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역사교과교육론(역사교육과 역사교육학의 의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제 1 장 역사교육의 의의
Ⅰ. 역사교육의 의미
Ⅱ. 역사교육과 역사교육학
Ⅲ. 역사교육의 목적
본문내용
※ 역사교육의 개념
- ‘역사교육’이란 인간의 과거에 관한 지식을 가르치고 이를 기초로 역사적 사고력과 통찰력을 신장시키며, 바람직한 역사적 가치관과 태도를 함양하기 위한 교육활동을 역사교육이라 할 수 있다. - 역사교육은 역사적인 사실을 소재로 한다. 이는 국어교육이나 지리교육과는 다른 것이다.- 역사교육의 가장 중요한 목표는 과거의 인간 활동을 이해하고, 그것이 현재에 주는 시사점을 파악하는데 그 목표가 있다.
- 역사교육은 바람직한 역사적 기능과 태도, 가치관을 함양한 인간으로 변화시키려는 의도적인 활동이다.
2.역사교육의 성격
※ 역사교육의 특성
- 역사교육은 과거, 현재, 미래를 서로 연결시켜 배우는 교육활동이다. 그런 이유로 역사교육에 있어서 시간성과 관련된 개념은 필수적이다.
- 역사학은 인간생활의 전체적 측면을 다룬다는 점에서 정치학과 경제학 같은 학문들과 구분이 된다.
- 역사교육의 성격과 관련된 논쟁을 보면 ‘역사가 문학인가, 과학인가?’하는 논쟁이 있다. 이 논쟁을 쉽게 답을 할 수는 없다. 그러나 보편적으로 역사교육은 문학적인 방법 과학적인 방법을 포괄해야 하는 교육활동이다.
※ 사회과와 역사교과
- 역사교육을 보는 관점에는 두 가지 대립적인 견해가 있다.
- 역사교과와 사회과의 통합성을 강조하는 견해, 역사교과의 독립성을 주장하는 견해가 있다.
- 전자의 경우에는 사회과의 궁극적 목표인 민주시민의 육성을 위해서는 역사와 사회과학의 여러 학문을 서로 밀접 시켜 학습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 후자의 경우에는 인간이나 사회에 대해 통합적으로 인식을 하거나 교수학습에서 다른 교과의 내용이나 방법과 연관을 짓는 것이 교과 통합을 뒷받침해 주는 근거가 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역사는 지리, 일반사회와 같이 인간의 사회생활을 취급하는 학문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닌다. 다만, 지리는 공간적 측면을 역사는 시간적 측면을 다룬다는 점에서는 차이점을 보인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