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소월의 시 세계
- 최초 등록일
- 2019.09.13
- 최종 저작일
- 2019.07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김소월의 시 세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김소월의 초기 시(61편) - 외롭고 슬픈 정감
2. 중기 시(112편) - 그리움과 미움
3. 후기 시(30편) - 좌절
4. 김소월의 시 세계
5. 민요적 율조
6. 민족의식의 반영
7. 자음축약(거센소리되기)
8. 모음축약
본문내용
● 김소월의 초기 시(61편) - 외롭고 슬픈 정감
-아버지의 정신질환으로 인한 불우했던 어린 시절은 소월의 초기 시에 슬픔․외로움과 일본에 대한 원망이 나타났으며 나라를 잃은 민족의 슬픔이 그 밑바탕을 이루고 있다고 한다. 또한 소월의 주변에는 불행한 삶을 살아야 했던 여인들이 많았는데 정신질환을 앓던 아버지와 평생을 살아야 했던 어머니와, 외로운 결혼생활을 했던 숙모가 있었으며 후처로 시집을 갔던 고모와 남편뒷바라지를 하였지만 결국 버림받게 되는 외숙모가 있다. 이러한 주변 환경은 소월에게 여리고 약한 성격을 소유하게 하였으며 소월의 작품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고 한다. 「진달래꽃」은 외숙경삼에게 버림받은 외숙모를 소재로 한 것이며, 「초혼」은 친구 김상섭의 죽음을 애도하는 시이다. 그러나 이러한 시가 개인의 슬픔이나 외로운 정서를 표현한 것이라고는 볼 수 없을 것이고, 암울했던 시대 상황 속에서 가정의 불행, 이별, 불행한 삶 등 겨레의 보편적인 정한을 노래한 것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