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학 ) 김소월의 시 세계에 대해 사랑, 죽음, 그리움을 중심으로 서술하시오. 이가림의 시편을 중심으로 시와 죽음의 언어에 대해 서술하시오.
- 최초 등록일
- 2021.02.19
- 최종 저작일
- 2021.02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3,500원 
목차
1. 서론
2. 본론
(1) 김소월의 시 세계-사랑, 죽음, 그리움
(2) 시와 죽음의 언어-이가림의 시편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서정시에는 인간이 경험하는 다양한 정서가 녹아들어 있다. 시대와 지역, 성별 등 저마다의 생의 모습이 존재하지만, 삶과 죽음, 사랑과 이별과 같은 경험은 인류 보편적인 것이다. 이러한 보편성의 공유는 문학 작품의 탄생과 해석, 향유를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사실은 우리나라의 문학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서정시인인 김소월과 이가림의 작품을 중심으로 이들의 시 세계에서 인간의 보편적 심상이 어떻게 그려지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김소월의 작품을 중심으로 그의 시 세계에서 사랑과 죽음, 그리움이 어떻게 형상화되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후 이가림의 시편을 통하여 시에서 어떠한 언어가 죽음의 이미지를 표상하고 있는지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인류가 공유하고 있는 원형적 심상이 실제 작품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 또한 각 시인의 작품 세계가 노래하는 보편적 심상은 어떠한 것인지를 이해하고자 한다.
2. 본론
먼저, 김소월의 시 세계를 이해하기 위해 원형적 심상의 개념을 다루고자 한다. 이후 「진달래꽃」, 「초혼」 등 그의 대표적 작품을 중심으로 시인의 작품 속에서 사랑과 죽음, 그리움이 어떻게 형상화되어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시와 죽음의 언어에 대하여 현대 시인인 이가림의 시편을 중심으로 시 속에서 드러나는 죽음의 이미지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참고 자료
김태준. 한국의 고전을 읽는다. 서울: 휴머니스트, 2006.
유성호 ( Yoo Sung-ho ). "이가림 시의 분석적 연구." 동아시아 문화연구 75.- (2018): 175-198.
이강하(Lee Kang Ha). "김소월 시에 나타난 사랑의 구현 원리." 동악어문학 71.- (2017): 401-432.
최명표. "이가림 시의 부재의식." 한어문교육 31.- (2014): 181-203.
편집부.(2015). 故 이가림 시인을 추모하며. 작가들, (55): 243-273
홍용희. "원형 상상과 주술 공감." 한국시학연구 -.32 (2011): 335-360. 김소월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