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트의 도덕법칙
- 최초 등록일
- 2019.02.25
- 최종 저작일
- 2019.02
- 1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칸트의 도덕법칙에 관해 조사하는 과제 입니다.
칸트의 도덕법칙에 관해 작성 했습니다.
칸트의 도덕법칙에 대해 궁금하신 분이 구매해 주시거나,
칸트의 도덕법칙에 관한 리포트 작성이 필요하신 분이 구매해 주세요.
목차
Ⅰ. 이론의 선택
Ⅱ. 이론의 개관
Ⅲ. 관련 사례와 교훈
Ⅳ. 도덕교육에서의 활용방안
본문내용
‘칸트’하면 생각나는 것은 정언명령과 가언명령, 선의지, 의무, 준칙 이중에서도 정언명령이 가장 먼저 떠오르게 되는데 그것은 지금까지의 윤리수업을 통해 ‘칸트’하면 정언명령과 절대론적 윤리주의라고 수없이 들어왔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그 누군가에게도 정언명령에 대해서 이러한 것이다 라고 자세히 설명해 줄 수 없는 것뿐만 아니라 나 자신도 정언명령이 무엇인지 잘 모른다. 물론 너무 어려운 철학이라 생각되어 자세히 알아보려는 의지조차 없었고 단지 칸트의 윤리학은 결과보다는 행동의 동기, 의지를 중요시 하는 것이라고만 내 머릿속에 자리 잡고 있었다. 그러던 중 윤리이론을 선택하고 그 윤리이론의 쟁점에 맞는 사례와 교훈에 관한 도덕 과제를 하게 되어 도덕적 딜레마를 가질 수 있는 사례가 무엇이 있을까 하고 고민하던 중 마침 중학교 시절 있었던 일이 생각났고 적합한 사례인지는 판단할 수 없으나 칸트의 도덕철학을 바탕으로 그 일을 풀어나가 볼 수 있겠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모든 도덕철학도 마찬가지로 잘 모르지만 이 기회에 칸트의 도덕철학에 대해 자세히 알아 보자라는 생각이 들었다.
나는 누군가의 행동에 대해 판단할 때 대체 어떤 기준을 가지고 판단해야 할지 고민일 때가 참 많다. 결과는 잘 못된 것이었어도 그 사람이 어떤 의도로 행동을 그렇게 한 것이었는지 궁금할 때도 많았고 그 사람의 행동을 결과만 보고 비난하다가도 그 사람의 의도가 무엇이었을까 추론해보고 만약 그 의도가 많은 사람이 결과로 판단하는 의도가 아닌 다른 의도일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점쳐 보면서 만일 그런 경우라면 그 사람을 비난하면 안 되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할 때도 있다. 또한 행위의 결과로 그 행위를 도덕적 기준에 의해 옳고 그름을 판단 할 수 있는가 에도 고민이 되고 결과에 상관없이 행위의 의도, 동기만을 보고 판단을 해야 하는 것에도 의문이 간다. 왜냐하면 만약 행위의 결과에 상관없이 의도와 동기만을 보고 판단을 한다면 그 의도와 동기를 정확하게 알아낼 수 있는 방법이 도무지 없을 것 같기 때문이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