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북한의 음악
- 최초 등록일
- 2001.12.11
- 최종 저작일
- 2001.12
- 1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들어가며...
1부 : 북한 음악
1/ 북한 음악 개괄 :북한 음악의 두가지 전통
1) 사회주의
2) 민족주의
2/ 북한 음악의 특징
: 음악정치
3/ 북한 음악의 활동
1) 음악소조
2) 음악 단체활동
3) 개량 악기
4) 배합관현악
4/ 북한의 음악 장르
1). 혁명송가
2). 민족음악
3). 대중가요
5/ 북한의 음악교육
6/ 북한 음악의 역사
2부 : 남북한 음악의 비교와 음악교류
1/ 남북한 음악의 비교
2/ 남북한 음악 교류
1) 남북한 음악교류
2) 지난 10년간 남북 음악교류 평가
3) 남북한 음악교류의 과제
본문내용
들어가며.
음악은 소리는 형상 수단으로 하여 현실을 반영하는 예술의 한가지이다. 우리가 쉽게 생각하는 음악은 듣기 좋은, 혹은 감동적인 소리로 우리들의 마음을 편하게 하는 것이다. 특히, 우리 나라에서 쉽게 들을 수 있는 음악들이 '사랑'이나 '이별'등을 주제로 하는 노래들을 생각해 보면, 음악은 감성적이며, '정치적인 무엇인가'와는 별로 상관없어 보인다. 그러나, 음악이 인간의 감성에 호소한다는 것을 염두해 둔다면, 음악의 힘에는 그 이상의 것들이 있을 것이다. 우리는 주변에서 이런 음악의 힘을 쉽게 찾을 수 있다. 애국가나, 응원가등의 집단의 노래에는 이런 감성에 호소하는 것 이상의 정치적인 효과들을 주는 것이다. 전통음악의 노동요등이 이 것의 또 다른 예일 것이다. 힘든 노동의 순간을 즐거운 음악을 부르거나, 들으면서 지내려는 노력은 예나 지금이 마찬가지일 것이다.
외부적으로 '폐쇄된 사회'이며, 내부적으로 '은폐된 사회'인 북한에서도 음악은 똑 같은 역할들을 하고 있을 것이다. 대중들의 동원과, 사상적 통합을 이루는 것에는 여러 가지 수단들이 사용될수 있는데, 이 중에서 가장 유효한 것들 중에 하나가 바로 음악일 것이다. 북한에서도 2000년 초에 '음악정치'라는 표현을 동원해 가면서 더욱더 악화되어 가는 북한의 상황을 극복하고, 내적 통합을 이루는 하나의 방편으로서 음악을 이용하고 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