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질관리]P관리도
- 최초 등록일
- 2000.07.24
- 최종 저작일
- 2000.07
- 9페이지/
MS 워드
- 가격 1,000원

목차
1. 管理圖의 의의
2. 管理限界
3. 품질의 변동원인
4. 管理圖의 종류
5. UCL과LCL산출
6. P-管理圖의 예
7. 참고문헌
본문내용
1. 管理圖의 의의
管理圖는 제조 공정을 잘 관리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그러나 제조 공정이 잘 관리된 상태에 있는가를 조사하기 위해서도 사용할 수가 있다.
管理圖에는 관리 한계를 표시하는 선을 중심선의 위·아래 양쪽에 그어, 이선을 관리상한선(Upper Control Limit:UCL)과 관리하한선(Lower Control limit:LCL)이라하고, 여기에 품질 혹은 제조 조건을 표시하는 점을 찍어 나간다.
이점의 管理限界의 안쪽에 있는가 또는 밖에 나오는 가에 따라서 제조 공정이 좋은 상태에 있는가 또는 그렇지 않은가를 알 수가 있다.
管理圖에 기입한 많은 점이 모두 관리 한계의 양쪽에 있으면, 그 제조 공정은 안정한 상태에 있다고 보아도 좋으나, 점이 밖에 나왔을 때에는 제조 공정에 보아 넘기기 어려운 원인이 있는 것이므로, 그 원인을 찾아 내어 대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管理圖는 제조 공정이 안정상태에 있는지 혹은 손을 쓰지 않으면 안 되는 상태에 있는지를 알아 내기 위하여 사용한다.
管理圖는 1924년 슈하르트(W.A.Shewhart)에 의하여 관리도라는 말이 처음으로 사용되었으며 우리 나라에서는 관리도법이 쓰이기 시작한 것은 1963년에 한국 공업 규격으로 KS A 3201(관리도법)이 제정되어, KS표시 허가 공장을 중심으로 일반 생산 공장에 파급되면서 부터라고 말할 수 있다. KS A 3201은 Shewhart의 3σ관리도법을 그대로 채택하고 있다.
2. 管理限界
管理圖는 품질변동의 원인이 우연원인에 의한 것인가, 아니면 이상원인에 의한 것인가를 구별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관리도에는 管理限界線이라 부르는 1쌍의 선이 표시되어 있다. 품질에 관한 측정결과를 그래프에 타점하였을 때 점이 한계선 밖으로 이탈하면 이상원인이 있음을 표시하게 된다.
管理限界線은 보통 과기의 실적으로부터 통계학적인 계산으로 설정하게 되는데, 평균치를 중심으로 타점할 통계량의 표준편차의 3배의 거리에 상, 하 대칭으로 그려 넣는다 (3σ법).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 한쪽만을 설정하는 경우도 있다.
참고 자료
-. 품질관리이론 한국산업인력관리공단(편) 한국산업인력관리공단 1999
-. 품질관리 김태종 다다미디어 1999
-. (신편)품질관리론 김진응 학문사 1998
-. 현대품질경영 유재식 학현사 1998
-. (최신판)품질관리론 염경철,오경환,이신득(공)저 지구출판사 1996
-. 품질경영 조재립 제문각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