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포스트모더니즘과 해체적 상상력

*병*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20.02.21
최종 저작일
2020.02
26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2,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포스트모더니즘과 해체적 상상력"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과 특성
1. 포스트모더니즘의 발생
2.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관계

Ⅱ. 한국 포스트모더니즘 시의 계보
1. 한국 포스트모더니즘 시의 기점
2 한국 포스트모더니즘 시의 전개

Ⅲ. 한국 현대시와 해체적 상상력
1. 한국 현대시의 전위성
2. 한국 현대시의 실험성
3. 한국 현대시의 해체성

Ⅳ. 한국 포스트모더니즘 시의 의의와 한계
1. 한국 현대시의 포스트모더니즘 적 상황과 의의
2. 포스트모더니즘의 한국적 전망

Ⅴ.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포스트모더니즘의 발생
문학비평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용어가 본격적으로 등장한 것은 어빙하우(Irving Howe), 해리레빈(Harry Levin) 등이 모더니즘운동의 정체현상을 지적하면서 처음 이 용어를 사용하였던 1950년대 후반으로 잡는다. 그러나 ‘포스트모던’이라는 용어만을 놓고 본다면, 1917년 판비츠(R.Pannwitz)가 유럽의 위기를 진단하며 니체와 연관해 처음 언급했던 시점까지 거슬러 올라가기도 한다. 원래 건축 부문에서 사용되었던 것이 무용, 연극, 회화, 영화, 음악 부문 등으로 퍼져 나갔고, 문학의 경우 다소 모호한 채로 통용되었는데, 뒤이은 1960년대의 창작운동으로 전개되면서 점차 확산되다가, 1970년대에 들어 이합 하산, 레슬리 피들러(Leslie Fiedler) 등에 의해 하나의 구체적인 문학적 경향을 지칭하게 되면서 하나의 중요한 개념으로 자리 잡게 된다. 어쨌든 포스트모더니즘은, 협의의 모더니즘이 아닌 아방가르드의 연장선상에서 이를 발전 혹은 확산시킨 운동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전전 유럽의 역사적 아방가르드가 침투하여 미국 화되는 현상을 두고, 종래에 ‘모더니즘’이라고 불렀던 영미의 현대문학과는 전혀 다른 이 문예운동 혹은 문학적 경향을 이전의 문예사조인 ‘모더니즘’과 구별하여 ‘포스트모더니즘’이라고 명명하였던 것이다.

2.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관계
“방법들은 소진되고 자극들은 약화된다. 새로운 문제들이 부상하여 새로운 기교를 요구한다. 현실은 바뀐다. 현실을 재현하기 위한 재현의 수단도 또한 바뀌어야 한다.”는 브레히트(Bertolt Brecht)의 언급은 시사하는 바가 많다. 이는 어느 특정한 변화의 시대에만 적용되는 말이라기보다 역사상 모든 전환기적 시점에 다 유효한 말인 셈이다. 나름대로 야심차게 시작되어 전개되어 온 모더니즘 운동도 1950년대에 이르러 그 한계를 드러내기 시작하였고, 포스트모더니즘 운동 역시 1990년대 이후로는 다소 주춤거리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렇다면 포스트모더니즘은 모더니즘의 운명적 닮은꼴인가, 아니면 전혀 다른 새로운 운동인 것인가? 이와 관련하여 잠시 짚고 넘어가야 할 문제가 있다.

참고 자료

고현철, 현대시의 패러디와 장르이론, 태학사, 1997.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사, 민음사, 1993.
권택영, 후기구조주의 문학이론」, 민음사, 1990.
김영철, 한국 현대시의 좌표, 건국대출판부, 2000.
김용직, 한국현대시연구, 일지사, 1974.
김욱동,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현암사, 1992., 포스트모더니즘과 포스트구조주의, 현암사, 1991., 포스트모더니즘의 이론, 민음사, 1992., 포스트모더니즘의 이해, 문학과지성사, 1996 (편), 바흐친과 대화주의, 나남, 1990.
김윤식, 발견으로서의 한국현대문학사, 서울대출판부, 1997.
김인환, 상상력과 원근법, 문학과지성사, 1993.
김재홍, 한국현대시인연구, 일지사, 1986.
김준오, 도시시와 해체시, 문학과 비평, 1992., 현대시의 환유성과 메타성, 살림, 1997. (편), 한국 현대시와 패러디, 현대미학사, 1996.
김 현, 미셸푸코의 문학비평, 문학과지성사, 1990.
김현자, 시와 상상력의 구조, 문학과 지성사, 1982.
김형효, 구조주의의 사유체계와 사상, 인간사랑, 1989., 데리다의 해체철학, 민음사, 1993.
나병철, 그람시의 여백: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을 넘어서, 소명, 1999.
남기혁, 한국 현대시의 비판적 연구, 월인, 2001.
동시영, 현대시의 기호학, 미리내, 2000.
문예미학회 (편), 해체론과 맑스주의, 문예미학사, 1999.
박인기, 한국 문학의 현대적 전개, 지식산업사, 1999.
송기한, 한국 전후시의 근대성과 시간의식, 태학사, 1994.
신범순, 한국현대시의 퇴폐와 작은 주체, 신구문화사, 1998.
여홍상 (편), 바흐찐과 문학이론, 문학과지성사, 1997.
오세영, 20세기 한국시 연구, 새문사, 1989., 한국 근대문학론과 근대시, 민음사, 1996.
윤호병, 현대시의 아포리아, 청예원, 1999. (외), 후기구조주의, 고려원, 1992.
이미순, 한국현대시와 언어의 수사성, 국학자료원, 1997.
이숭원, 현대시와 지상의 꿈, 시와시학사, 1995.
이승훈, 포스트모더니즘 시론, 세계사, 1991., 해체시론, 새미, 1998. (외), 포스트모더니즘과 문학비평, 고려원, 1994.
이진우 (편), 포스트모더니즘의 철학적 이해, 서광사, 1993.
정끝별, 패러디 시학, 문학세계사, 1997.
정정호 (편), 포스트모더니즘과 한국문학, 도서출판 글, 1991., 전환기적 문학과 대화적 상상력, 한신문화사, 1998.ㆍ강내희 (편), 포스트모더니즘의 쟁점, 도서출판 터, 1991ㆍ강내희, 포스트모더니즘론, 도서출판 터, 1989.
조주관 (편역), 러시아 현대비평이론, 민음사, 1993.
최동호 (편), 새로운 비평논리를 찾아서, 나남, 1990.
한계전, 한국현대시론연구, 일지사, 1983.
한국기호학회 (편), 문화와 기호, 문학과지성사, 1995.
한국문학연구회 (편), 1950년대 남북한 시인 연구, 국학자료원, 1996.
홍준기, 라캉과 현대철학, 문학과지성사, 1999.
Bakhtin, M. M., 송기한 역, 마르크스주의와 언어철학, 한겨례, 1988.
Bloom, Harold, Deconstruction and Criticism, Routledge & Kegan Paul, 1979.
Bogdal, Klaus-Michael, 문학이론연구회 역, 새로운 문학이론의 흐름, 문학과지성사, 1994.
Calinescu, M., 이영욱(외) 역, 모더니티의 다섯 얼굴, 시각과언어, 1993.
Callinicos, Alex, 임상훈ㆍ이동연 역, 포스트모더니즘 비판, 성림, 1994.
Cohen, Ralph ed., The Future of literary theory, NewYork: Routledge, 1989.
Culler, J., The Pursuit of Signs, NewYork: Cornell Univ. Press, 1981.
Daval, Jean-Luc, 홍승혜 역, 『추상미술의 역사』, 미진사, 1990.
Derrida, J., 김보현 편역,『해체』, 문예출판사, 1996., 남수인 역, 『글쓰기와 차이』, 동문선, 2001.
Eagleton, Terry, 김준환 역, 『포스트모더니즘의 환상』, 실천문학사, 2000.
Eco, Umberto, 조형준 역, 『열린 예술작품』, 새물결, 1995.
Esthop, A., 박인기 역, 『시와 담론』, 지식산업사, 1994.
Eysteinsson, Astradur, 임옥희 역, 『모더니즘 문학론』, 현대미학사, 1996.
Foster, Hal ed., 윤호병 역, 『반미학 : 포스트모던 문화론』, 현대미학사, 1993.
Foucault, Michel Paul, 이정우 역, 『지식의 고고학』, 민음사, 1992.
Genette, Grard, Palimpsests, trans. by C. Newman & C. Doubinsky, Univ. of Nebraska Press, 1997.
Giddens, A., 이윤희ㆍ 이현희 역, 『포스트모더니티』, 민영사, 1991.
Harland, Richard, 윤호병 역,『초구조주의란 무엇인가』, 현대미학사, 1996.
Hartman, J., Deconstruction and Criticism, London:Routledge & Kegan Paul, 1979.
Harvey, D., 구동회ㆍ박영민 역, 『포스트모더니티의 조건』, 한울, 1994.
Hassan, Ihab, 정정호ㆍ이소영 편역,『포스트모더니즘 개론: 현대문화와 문학이론』, 한신문화사, 1991.
Hutcheon, Linda, 김상구ㆍ 윤여복 역, 『패러디 이론』, 문예출판사, 1993., A Poetics of Postmodernism, Routledge, 1988.
Jameson, Fredric, 강내희ㆍ정정호 역, 『포스트모더니즘-후기자본주의 문화논리』, 터, 1991.
Kristeva,Julia, Revolution in Poetic Language, trans. by M. Waller, Columbia Univ. Press, 1984.
Leitch, Vincent B., 권택영 역,『해체비평이란 무엇인가』, 문예출판사, 1988.
Moles, Abraham, 엄광현 역, 『키치란 무엇인가』, 시각과 언어, 1994.
Norris, Christopher, 이기우 역,『디컨스트럭션-탈구축의 이론과 실천』인동, 1986.
Rose, A. M., Parody, Cambridge Univ. Press, 1993.
Silverman, H. ed., 윤호병 역, 포스트모더니즘, 고려원. 1993.
Toolan, Michael ed., Language, Text and Context, Routledge, 1992.
Waugh, Patricia, 김상구 역, 『메타픽션』, 열음사, 1989.
Zima, Peter U., 김혜진 역, 『데리다와 예일학파』, 문학동네, 2001.
고석봉, 「패러디 시가 나아갈 방향」, 『오늘의 문예비평』, 1994. 봄.
권영민, 「인식으로서의 시와 시에 대한 인식」, 세계의 문학, 1982. 겨울.
권택영, (특집)「표절이냐, 문학기법이냐」, 『오늘의 문예비평』, 1993. 여름., 「밀러의 해체비평」, 『현대시사상』5, 1990. 겨울., 「패러디, 패스티쉬 그리고 독창성」, 『현대시사상』13, 1992. 겨울., 「해체주의 문학론」, 현대시사상 2, 1988.
김경복, 「자기반영성,혹은 새로운 문학 형식의 예고」, 『오늘의 문예비평』, 1993. 여름.
김상환, 「데리다와 은유」, 『은유와 환유』, 문학과지성사, 1997.,우리시와 모더니즘의 변용」, 『현대시사상』, 1995. 여름.
김성곤, 「해체이론에 대한 논의」, 『현대시사상』 5, 고려원, 1990 겨울.
김성기, 「포스트모더니즘의 사회이론에 관한 연구」, 서울대 박사, 1993.
김용직, 「모색과 충돌, 실험지상주의 - 이상론」, 『모더니즘 연구』, 자유세계, 1993.
김욱동, 「은유와 환유의 언어학적 기초」, 『은유와 환유』, 문학과지성사, 1997. , 「포스트모더니즘과 한국 문학」, 『라쁠륨』 16호, 2000. 여름.
김윤식, 「작품과 텍스트의 숨바꼭질」, 문예중앙, 1990. 여름., 「해방에서 60년대까지의 시사」,『한국현대시연구』, 민음사, 1989.
김인환, 「J.크리스테바의 문학접근방법과 그문제점」, 논총 58집, 이화여대, 1990.
김준오, 「도시시와 포스트모더니즘」, 『현대시사상』 4, 1990. 가을. , 「한국 모더니즘 시론의 사적 개관」, 『현대시사상』, 1991. 가을., 「현대시의 자기반영성과 환유원리」, 『작가세계』, 1994. 겨울.
김진석, 「패러디냐 자살이냐」, 『문학과 사회』, 1993. 가을.
김효중, 「한국현대시비평과 해체주의이론」,『한국현대시의비교문학적연구』, 푸른사상, 2000.
도정일, 「시뮬레이션 미학, 또는 조립문학의 문제와 전망」, 『문학사상』, 1992. 7., 「퇴행문화시대의 예술-파편화와 나르시시즘」, 세계의문학, 1994봄.
류순태, 「1960년대 김춘수 시의 창작 방법 연구」, 『한국시학연구』 제3호, 한국시학회, 2000.
문광영, 「한국 현대 난해시에 관한 연구」, 인천교대논문집 20집, 1986. 4.
문선영, (특집)「패러디, 모방에서 창조로」, 『문학과 사회』, 1993. 가을.
박봉희, 「포스트모더니즘과 아이러니」, 『현대시사상』, 1989. 여름.
박상배, 「메타시의 희극성, 전인성」, 현대시사상, 1997. 봄., 「일상시와 포스트모더니즘」, 『현대시사상』, 1990. 가을. , 「표절의 미학」,현대시사상8, 1991.가을., 「해체시란 무엇인가」, 현대시사상, 1988.
서준섭, 「순수시의 향방 - 1960년대 이후의 김춘수의 시세계」, 작가세계33, 1997. 여름.
신범순, 「무화과 나무의 언어」, 작가세계33, 1997. 여름.
신익호,「패러디유형의 개념고찰」, 『한국현대시연구』, 한국문화사,1999.
엄국현, 「무의미시의 방법적 이해」, 『김춘수연구』, 학문사, 1982.
오규원, 「김춘수의 무의미시」, 현대시학, 1973.6. , 「날(生)이미지와 현상시」, 현대시사상, 1997. 봄.
오생근, 「자동기술과 초현실주의적 이미지의 의미와 특성」, 『인문논총』 27집, 1992. 6.
오세영, 「김춘수의 <노래>」, 문학예술, 1991.6., 「현대시 연구의 현황」, 시문학, 1990.9.
원형갑, 「김춘수와 무의미의 기본구조」, 현대시논총, 형설출판사, 1982.
윤자정, 「포스트모더니즘 논의에 대한 비판적 검토」, 미학 제15집,1990.
윤호병, 「데리다의 반인간주의」, 현대시사상, 1990. 여름., 「텍스트, 텍스트성, 상호텍스트성」, 『현대시사상』, 1992. 여름., 「해롤드블룸의 해체비평」, 현대시사상, 1990. 겨울., 「흔적의 남김과 원본의 소멸」, 현대시사상, 1997. 봄.
이경희, 「시적 언술에 나타난 한국현대시의 병렬법 연구」, 이화여대 박사, 1989.
이미순,「김춘수의<꽃>에 대한 해체론적 독서」,『오당조항근 화갑기념논총, 보고사, 1997.
이성원, 「해체의 철학과 문학비평」,현대비평과이론8호, 한신문화사,1994.
이숭원, 「생명의 속살, 죽음의 그늘」, 현대시, 1993. 12. , 「인간존재의 보편적 욕망」, 시와 시학, 1992. 봄.
이승훈, 「메타시의 유혹과 전망」, 『시와 사상』, 1996 봄. , 「비대상과 해체」,현대시사상8,고려원, 1991가을., 「비대상시」 『시문학』, 1981. 10., 「해체시와 포스트모더니즘」, 현대시사상, 1990. 가을. ·박상배·김준오, (좌담)「메타시, 새로운 시대의 글쓰기」, 『현대시사상』, 1996. 여름.
이영걸, 「고백시와 포스트모더니즘」, 『현대시사상』, 고려원, 1990 가을.
이인영, 「반텍스트와 반복의 기호학」, 러시아연구 서울대 러시아연구소, 1994.
이재룡, 「파라텍스트의 세계. 창작과 명명」, 『작가세계』, 1992. 여름.
이정호, 「21세기는포스트모던시대이다」, 라쁠륨16, 2000.여름.
이진우, 「문학매체의 이동현상」, 『문학정신』, 1992. 11.
이진흥, 「일상성의 파기」, 문학과 언어 제1집, 1980.
이태동, 「폴 드 만의 해체이론과 그 실체」, 『현대시사상』, 1990. 겨울.
이형권, 「해체시의 자의식과 서정」, 한국시문학제11집, 한국시문학회, 2001. 10.
이형기, 「상상력의 영구혁명」, 『현대시사상』, 1991. 가을.
이형식, 「이질적 장르의 합성과 패러디」, 『문학과 사회』, 1993. 가을.
이혜원, 「시적 해탈의 도정」, 『1950년대의 시인들』,(송하춘 ㆍ이남호 편), 나남, 1994.
장정일, 「인공시학과 그 계보」, 세계의 문학, 1992 봄.
정정호, 「포스트모더니즘이란 무엇이었던가?」, 『라쁠륨』 16호, 2000. 여름.
정효구, 「우리시의 해체주의」, 현대시사상2, 고려원, 1988.
조남현, 「난해시 배경론」, 『문학과 정신사적 자취』, 이우출판사, 1984. , 「현상학적 시론 서설」, 『문학과 정신사적 자취』, 이우출판사, 1984.
진순애, 「한국 현대시의 실험시 계보」,개신어문연구14집, 충북대, 1997.
채규판, 「김춘수,문덕수,송욱의 실험정신」, 『한국현대비교시인론』, 탐구당, 1982.
최문규, 「아방가르드(모더니즘)」, 『현대시사상』, 1994. 가을.
한계전, 「50년대모더니즘시의가능성」, 『1950년대 한국문학연구』,보고사,1997., 「전후시의 모더니즘적 특성과 그 가능성」, 『한국전후문학의 형성과 전개』, 태학사, 1993.
황지우, (특별좌담)「새로운 현실의 문학적 조건」, 『오늘의 시』, 1992.
Bannet,E. T., 「데리다의 해체전략」(김영희 역), 현대시사상, 1990. 가을.
Culler,J., 「데리다의 해체주의」(김영희 역), 현대시사상, 1988.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병*
판매자 유형Diamond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포스트모더니즘과 해체적 상상력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