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관리]자본자산 가격결정모형 - CAPM
- 최초 등록일
- 2004.10.13
- 최종 저작일
- 2003.10
- 1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CAPM에 관한 모든것(SML, CML)을 정리했구요...
레포트 점수 만점 받았었습니다~
본문에 각종 그래프와 수식이 많아서 레포트 작성할때 엄청 고생했던 기억이 있네요~^^
편집도 깔끔하게 해놨음!!
목차
1. CAPM의 개요
2. CAPM의 기본가정
3. 자본시장선
1) 효율적 프론티어
2) 자본시장선의 도출
4. 증권시장선
1) 증권시장선의 도출
2) 증권시장선의 의미
5. 자본시장선과 증권시장선의 비교
6. CAPM 모형의 보완 및 문제점
7. CAPM 모형의 이용
본문내용
3. 증권시장선의 의미
(1) 체계적 위험과 비체계적 위험
일반적으로 자산의 수익률의 표준편차 혹은 분산으로 나타내는 위험을 그 자산의 총위험(total risk)이라고 정의한다. 자산수익률의 표준편차로 측정하는 총위험은 증권시장의 전반적인 불확실성에 기인하는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으로 구성된다.
어떤 자산의 총위험 중에서 증권시장의 전체적인 움직임의 불확실성 때문에 발생하는 위험의 부분을 체계적 위험(systematic risk)이라고 부르고, 시장의 전반적인 움직임과는 무관한 기업 고유의 요인 때문에 발생하는 위험의 부분을 비체계적 위험(unsystematic risk)이라고 부른다. 비체계적 위험을 가져다 주는 기업 고유의 요인으로는, 경제 전반의 경기변동과는 무관하게 발생하는 어떤 기업의 노사문제, 매출액 변동, 소송, 대정부관계, 기업 이미지 등을 들 수 있다.
개별기업의 고유한 특성 때문에 발생하는 비체계적 위험은 투자자가 단순히 투자자금을 여러 주식에 분산 투자함으로써 제거될 수 있기 때문에 분산가능 위험(diversifiable risk)이라고 한다. 그러나, 증권 시장 전체의 변동성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개별 자산의 체계적 위험은 분산투자로서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분산불가능 위험(undiversifiable risk)이라고 한다. 실제로 투자자들이 자신의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때 단순히 구성 종목의 수를 증가시켜 주기만 하면,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주식 상호간에 기업고유 요인들이 상쇄되어 비체계적 위험은 제거되고 체계적 위험만 남게 된다. 이러한 분산투자를 수행할 경우, 투자자들의 포트폴리오는 효율적인 포트폴리오인 시장포트폴리오와 거의 유사한 위험 수준을 갖게 된다.
(2) 증권시장선
① SML은 자본시장이 균형인 상태에서 모든 위험자산의 기대수익률(균형수익률)이 체계적 위험(베타계수)과 선형관계에 있음을 나타낸다. 즉, 모든 자산의 균형수익률은 무위험이자 율과 위험프리미엄의 합으로 구성되는데 SML에 의하면 특정자산의 위험프리미엄은 체계 적 위험 1단위당 시장가격 에 그 자산의 체계적 위험()을 곱한 값이다. 그 런데 여기서 체계적 위험 1단위당시장가격은 시장에서 결정되는 상수이므로 균형수익률은 체계적 위험과 선형관계를 갖고 결정된다.
② SML에서는 위험의 척도로 체계적 위험을 나타내는 베타계수를 사용한다.
③ SML은 효율적 포트폴리오뿐 아니라 비효율적 포트폴리오와 개별자산을 포함한 모든 자 산을 평가대상으로 한다.
참고 자료
김민환, 재무관리(4판)
이의경, 재무관리(2판)
박정식외, 현대재무관리(6판)
and 웹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