Ⅲ 임신중절 (낙태) 반대
1. 반대 측 근거
2. 찬성 측 주장에 대한 반박
3. 낙태법 폐지운동의 문제점
본문내용
1. 임신중절 (낙태)
1) 임신중절 (낙태) 정의
(1) 사전적 의미의 인공임신중절이란 인위적으로 행하는 인공유산(협의의 낙태)이며 인공유산 중 대한민국 법에서 허용한 의료인의 의료적인 낙태 행위를 인공임신중절 혹은 임신중절술이라고 부른다.
(2) 낙태란 산모의 자궁 밖에서는 단독으로 생존할 수 없는 태아를 인공적인 수단으로 축출하여 임신을 종결시키는 것이다. 치료적 낙태와 임의의 낙태로 나눌 수 있다.
2) 임신중절 (낙태)의 실태 (2018년)
- 한해동안 이뤄진 낙태 건수는 5만건
- 성 경험이 있는 여성 약 10명 가운데 1명, 임신한 여성 5명 중 1명꼴로 인공임신중절을 경험
- 임신 중절률은 천 명당 4.8건
- 만 15∼44세 여성 중 생애에 임신을 경험한 사람의 19.9%가 인공임신중절을 하여 많은 여성들이 위기임신 상황에 놓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 임신중절(낙태) 윤리적 쟁점
1) 임신 중절(낙태)에 대한 입장.
(1) 보수주의자 : 태아는 수정 순간부터 인간이라는 주장을 한다.
(2) 일부 자유주의자 : 태아가 인간이라고 해도 산모의 생명을 위협하는 존재라면 태아를 죽이는 것이 정당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임신중절의 정당성을 옹호한다.
(3) 극단적 자유주의자 : 태아의 인간성 자체를 부인한다.
2) 인간 생명의 출발점에 대한 입장.
(1) 보수주의 : 수정 순간 인간 생명이 시작되기에 일체의 임신중절은 도덕적으로 그르다.
(2) 자유주의 : 출생 순간 인간 생명이 시작되어 그 이전에는 언제든지 임신중절이 가능하다.
(3) 절충주의 : 인간 생명이 언제부터 시작되는가의 물음은 그 자체가 하나의 윤리 물음이기에 어느 한 입장이 절대적으로 옳다고 주장할 수 없다.
3. 낙태에 대한 생명윤리학적 관점에서의 쟁점
1) 인격성 논쟁
(1) 인격성의 기준
➀ 인지적 기준에 의하면 인격체가 된다는 것은 생각할 수 있고 인지할 수 있어야 한다.
but. 알츠하이머병을 가진 말기환자, 혼수상태의 환자, 인지능력이 없는 신생아는 인격체가 아닌가?
➁ 인격성의 기준으로서 유전적 기준이다. 인격체가 된다는 것은 인간에만 존재하는 특수한 유전자를 갖는다는 것이다.
but. 세계 도처에서 냉동 보관중인 배아들은 잠재성 만을 가졌기 때문에 인격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고 해야 하는가?
참고자료
· 대한민국 헌법 제2장 제10조
· 형법 제269조 1항
· 형법 제270조 1항
· 모건보건법 제 14조
· 이소영, 변수정, 김종훈, 김회성, 박종서, 임정미 외 8인. 인공임신중절 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8 11월. 정책보고서 66.
· 헌법재판소 판례, ‘형법 제241조의 위헌여부에 관한 헌법소원’ , 89헌마82, 1990.9.10.
· 헌법재판소 판례. ‘형법 269조 1항, 270조 1항 낙태죄 위헌법률심판 헌법불합치 결정’, 2017헌바127,2019.4.11
· Ahn SH, Kwon YM, Pack MH, Choi GS. Ethics in Nursing Profession: Reflections via Bioethics. Korean Nurses Association;2018. p. 38-65.
· Andrew, Lori B., “My Body, My Property”, in: The Hastings Center Report 17,1986, pp. 28~38, Mies, M., “From the Individual to the Dividual: In The Supermarket of ‘Reproductive Alternatives’”, in: Reproductive and Genetic Engineering 1. 3, 1988, pp. 225~237.
· Beauchamp TL, Childress JF. Principles of Biomedical Ethics. 7th ed. New York :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 Cook R. J., Dickens B. M., & Fathalla M. F. Reproductive Health
· and Human Rights: Integrating Medicine, Ethics, and Law. Oxford &
· New York: Oxford niversity Press. 2013; p. 12.
· Kwon BK, Kim HC. Bioethics and Laws. 2005;1-381.
· Kim MJ. ‘Neo-liberal Individualism’and the Principle of Autonomy. Korean J Med Ethics. 2016;19(3):267-281.
· Kim MJ, Shim JW. Improvement of Capability to the Self-Determination of Disabled Women in Abortion. Korean J Med Ethics. 2018;21(4):301-315.
· Kim JM, Lee MJ. A Health Professional’s Right in Abortion : Focusing on the Decisions of 2017Hun-Ba127 (the Articles of Criminal Law on Abortion as Unconstitutional). Korean Journal of Medicine and Law. 2019;27(1)
· Kim JS. Abortion and Fundamental Value in the Constitutional Law. Gender and Culture. 2010;3(2):77-106.
· Kim JS, Kim JS. Comparative Analysis of Cognitive and Physical Function according to Dysphagia of Aged Patients in Geriatric Hospitals.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Society. 2019;21(3):190-199. https://doi.org/10.17079/jkgn.2019.21.3.190.
· Kim JS. The right and Life about embryo. Association of Korean Law Society. 2010;40:1-18.
· Kwon HN. A Study on the Controversy about Beginning of Life and Emergency Contraception. Korean society of Evangelical Practical Theology. 2015;44(0):425-445.
· Jeon BN. Birth of Unwanted Child and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of Pregnant Woman. The Korean Journal of Legal Medicine. 2000;24(2)
· Jeong HS. A Review on the Abortion in a Bioethics Culture. The institute for Culture, Media, and Entertainment Laws.2018;12(2):143-164.
· Yang HA. Necessity of Women's Abortion Right and Its Implications. Korean Association of Women's Studies. 2005;21(1):5-39.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