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대 이후, 한국 시 문학 및 대표 시인 분석
- 최초 등록일
- 2021.06.01
- 최종 저작일
- 2021.05
- 6페이지/
MS 워드
- 가격 2,000원

소개글
"1990년대 이후, 한국 시 문학 및 대표 시인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포스트모더니즘 현대시 문학 – 황병승 시인
3. 민중시의 대표시인 – 송경동 시인
4. 생명을 노래하는 생태시의 대표시인 ‘김지하 시인’
5. 여성의 인권을 노래한 여성주의 시인 ‘강은교 시인’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990년대는 한국의 독재정권 및 권위주의 사회 분위기가 청산되는 분위기에 따른 문민정권이 들어선 시기라 할 수 있다. 1990년대는 권위주의 청산과 함께, 한국에는 개방의 시대로서 해외의 문화 및 자본등이 한국에 본격적으로 유입되는 시기라 할 수 있다.
이 시기에 한국사회는 후기 자본주의 시대에 들어서며, 다국적 자본주의의 유입에 따라 한국의 전통적 가치가 서서히 무너지며 자본주의 및 개인주의가 사회에 급속도로 퍼지던 시기가 1990년대라 할 수 있다. 이후 한국사회는 완전한 자본주의 및 민주주의 체제의 사회의 진입에 따라 시문학도 이에 맞춰 변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1990년대는 한국사회에 종말론적인 분위기와 함께 새로운 시기에 대한 종말론적 분위기와 불안함이 엄습하던 시대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시문명의 부정화와 함께 서정적이면서도 사회의 퇴조, 도시문명을 노래하지만 그에 따른 도시문명의 쇠퇴와 암울한 시대상을 보여주던 시문학의 시대라 할 수 있다.
2000년대 이후에는, 한국사회의 시민사회 문화 및 민주화가 성숙되어 시민문학이 급속도로 발전한 시기라 할 수 있다. 한국 현대시 역사에서도 시민문학의 발전으로 인한 현대시 발전에 많은 영향을 준 시기가 2000년대 이후의 한국 현대 시 문학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2. 포스트모더니즘 현대시 문학 – 황병승 시인
황병승 시인은 1990년대 대표적인 포스트모더니즘 현대 시 문학의 대표적인 시인이라 할 수 있다. 황병승의 시는 매우 과격한 포스트모더니즘을 추구한다고 할 수 있다.
황병승의 시는 ‘무의식’을 토대로 쓴 시가 굉장히 많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당대 사회의 매우 민감하고 도발적인 주제로 시를 쓰며 사회적안 반향을 일으킨 시인이라 할 수 있다. 그의 시는 매우 난해하면서도 기존의 서정시의 형식을 파괴한 매우 실험적인 시인이라 할 수 있다.
참고 자료
https://www.etoday.co.kr/news/view/1495459
https://www.hani.co.kr/arti/society/labor/985666.html
http://www.bookpot.net/news/articleView.html?idxno=412
https://news.joins.com/article/23934995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_id=200702281806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