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개론]-토론(2)
- 최초 등록일
- 2020.09.08
- 최종 저작일
- 2020.09
- 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이용하시는 한글프로그램 버전이 낮은 경우에는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한글 뷰어 프로그램 또는 상위버전 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개론]과목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 학점은행제의 전공필수 과목의 하나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와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를 비교대조하는 것을 비롯해서 한국어 교수법, 발음, 어휘, 문법교육론 등 한국어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학습 하는 과목입니다. 토론 모음집(2)를 통해서 한국어교육개론에 대한 전반적인 가이드라인이 되기를 바랍니다.
목차
1. 한국어 쓰기 교육론
1) 쓰기 교육방법의 종류가 무엇이 있는지 생각해보자.
2) 학습자들에게 가장 알맞은 쓰기 피드백은 무엇일지 생각해보자.
2. 한국어 듣기 교육론
1) 듣기 과정 모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 지 생각해보자.
2) 듣기 수업의 각 단계에서는 어떤 것을 시행하는지 생각해보자.
3. 한국어 읽기 교육론
1) 스키마가 무엇인지 생각해보자.
2) 읽기 후 단계에서는 어떤 활동과 연계해야 할지 생각해보자.
4. 한국어 문화 교육론 / 한국어 교육과정론
1) 숙달도별 문화교수를 어떻게 달리 할지 생각해보자.
2)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은 어떤 원리를 가지고 설계되었는지 생각해보자.
5. 한국어 교재론
1) 교육과정 평가의 목적에 대해서 생각해보자.
2) 교육용 부교재 제작 시 유의해야 할 점에 대해 생각해보자.
6. 한국어 평가론
1) 평가 문항 개발 시 유의해야 할 점에 대해 생각해보자.
2) 채점 방법에는 무엇이 있는지 생각해보자.
본문내용
2. 한국어 듣기 교육론
1) 듣기 과정 모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 지 생각해보자.
(1) 상향식 모형: 최초로 개발된 정보 처리 이해 모형
(2) 하향식 모형: 담화 과정에 대한 배경 지식의 사용을 강조한 모형
(3) 상호작용 모형: 상향식과 하향식 두 가지가 서로 섞인 모형
2) 듣기 수업의 각 단계에서는 어떤 것을 시행하는지 생각해보자.
(1) 듣기 전 단계: 효과적인 듣기를 위하여 학습자의 동기와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한다.
(2) 듣기 단계: 들을 내용과 관련된 과제를 제시하고 수행하게 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