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키너의 학습이론과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을 비교
- 최초 등록일
- 2020.03.24
- 최종 저작일
- 2019.11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스키너의 학습이론과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을 비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스키너의 학습이론
2.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
3. 스키너의 학습이론과 반두라의 학습이론의 공통점 및 차이점
본문내용
1. 스키너의 학습이론
행동주의 학습이론은 처음 John B.Watson에 의해 1913년 미국심리학에 도입되었다. 그는 심리학이 행동에 대한 데이터에만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입장을 주장하였고 밖으로 드러난 행동 그 자체에 충실하자고 했다. B.F.Skinner는 왓슨과 달리 급진적 행동주의를 주창하였다. 행동주의는 1960년대 주류를 이루었지만 1970년대 이후에는 심리학에 주도적 역할을 하진 못하였다. 행동주의 대표적인 학습의미는 의도적, 지속적 변화, 관찰 가능한 행동 변화를 이끌어 내는 것이었으며 파블로프의 조건 반사설,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화, Guthrie의 자극-반응 결합설, Hull의 체계적 행동이론설 등이 있다.
행동주의 학습이론에 가장 많은 영향을 끼친 Skinner의 이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파블로프가 자극과 반응을 통한 고전적 조건형성 이론으로 행동주의 학습이론을 과학적 기반위에 올려놓은데 기여하였다면 스키너는 파블로프의 실험에서 피 실험자의 역할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보았으며 고전적인 조건형성이 선천적인 반사행동으로 학습을 설명하는 데는 유용하지만 유기체 스스로 행동을 일으키기에는 설명이 부족하다고 했다.
참고 자료
‘영유아 발달’교재 (중앙사이버평생교육원)
김현주 저, ‘영유아 발달’ (동문사)
노민래 저, 사회복지사 1급 ‘인간행동과 사회 환경’ (에듀윌)
민경환 저, ‘성격 심리학’ (법문사)
박아청 저, ‘교육심리학’ (양서원)
인터넷 검색 (네이버, 다음, 구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