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역사-한국간호
- 최초 등록일
- 2019.06.27
- 최종 저작일
- 2018.01
- 2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목차
제 1 장. 한국간호사의 개관
제 2 장. 근세조선의 의녀제도
제 3 장. 구한말 선교사업과 간호(현대간호의 도입기)
제 4 장. 일정시대의 간호(한국간호의 수난기)
제 5 장. 광복이후(한국간호의 성장기)
제 6 장. 한국간호의 최근동향(간호의 발전기)
제 7 장. 현대 한국간호(간호의 성숙기), 1980년대 이후
제 8 장. 연대기
본문내용
제 1 장 한국간호사의 개관
1. 개요
구분/ 간호활동내용
~ 조선시대 이전
미확인 시대
기록이 없음
조선시대
의녀제도
■ 유고의 남녀유별관, 절열관에 의거
* 여성환자를 진료할 여성의료인 양성이 목적
* 관비신분의 통녀를 차출
* 체계적 기초의학교육
■ 의녀제도가 간호사에 포함되는 데 있어 두 가지 관점
* 여성직업의 발달사와 의료, 사회, 전도사업과 간호사업의 한계가 불분명
* 여성직업의 발전사가 곧 간호사업의 발전사로 보기 때문
→ 사적 자료의 부족으로 자세히 알기가 어렵다.
조선 구한말
(~1910)
(근대간호태동
■ 선교사에 의한 간호사업
* 현대간호 도입기
* 초기 간호사업의 원로
■ 선교간호사들의 업적
* 선교사들에 의해 한국간호사업의 기초가 마련
* 그들의 헌신적 봉사로 간호사업의 내용과 체계가 마련
→ 높이 평가하는 이유
① 간호사업에 사랑과 봉사의 실천을 가져옴
② 여성의 지위나 교육수준이 높은 곳의 사람들이 남존여비가 강한 나라에 와 혁신을 이룸
③ 의학의 발달과 보조를 같이 하므로 선교사들이 과학적 이론과 체계위에 습득된 간호법을 소개
■ 선교계 간호교육 - 보구녀관(에드몬즈,1903), 세브란스(1906), 관립교육(1907)
<중 략>
제 2 장 근세조선의 의녀제도
1. 의녀제도의 시작
* 근세조선의 건국이후 이태조때 제생원을 민중치료기관으로 설립
* 부인들의 질병치료를 위해 태종 6년 제생원사 허순이 동녀를 선발하여, 맥, 침, 뜸 등의 의술을 가르침
2. 의녀의 교육과 의무
* 선발기준 및 연령 : 태조 18년(1418) 사비의 딸 / 세종 16년(1434) 12세이상 30세 이하의 노비출신
* 기본교육으로 문자해독하게 한 후 의서를 배우게 & 산서
* 의녀교도관 : 학습상태를 평가
* 세조 5년(1460) 제생원이 우민국에 병합 → 의녀교육을 담당
* 성종 9년 : 의녀의 등급을 3등급으로 나누어 관리
내의 / 간병의 / 초학의
* 의녀와 산파와의 관련성이나 업무한계에 대한 기록이 없다.
* 영조 : 내국의녀(현대 여의사)와 우민국의녀(현대 간호사)의 구분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