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간호의 역사
- 최초 등록일
- 2020.05.19
- 최종 저작일
- 2017.11
- 7페이지/
MS 워드
- 가격 2,000원

소개글
간호학개론 한국간호의 역사 레포트입니다.
목차
1. 조선시대의 간호
2. 근대 (구한말, 대한제국) 시대의 간호
3. 일정시대 간호의 교육과 발전
4. 해방 직후 및 정부수립기의 간호
5. 한국전쟁과 전후복구기 간호의 교육과 발전
6. 한국간호의 성장기
7. 발전기의 한국 간호
본문내용
1. 조선시대의 간호
1) 조선의 의녀제도
- 조선의 간호의 시작은 의녀제도로, 유교사상으로 인해 남성 의사에게 진찰을 받지 못하는 여성 환자들을 위하여 태종 6년이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동녀를 선발하여 제생원, 혜민서에서 담당하여 교육하기 시작한 것이 조선 말까지 지속되었다. 이것을 태종의 의약제민정책 이라고 한다.
고려시대의 의료제도를 답습한 조선은 의녀제도를 창설해 공적인 전문 교육 제도가 만들어졌지만, 공식적인 간호 인력 양성에 대한 자료는 없다고 한다. 이 시대 의녀는 모두 관비로 소속이 되어 있었는데, 그 이유는 첫째, 국가 소유이기 때문에 필요한 수만큼 선발할 수 가 있기 때문이다. 둘째, 천민 신분이기 때문에 남자의원이 교육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셋째, 국가가 필요로 하는 지역에 파견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넷째, 임의로 그만두지 못하게 규제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의녀는 여성들의 질병과 산부인과적 치료를 수행하고 천자문, 효경, 정속편 등 유학적 인성교육을 받았으며, 진맥, 침과 뜸의 시술법, 방서, 명약, 출산 등의 교육을 받았다고 한다. 또한 의녀는 사약을 전달하고, 질병의 예후를 관찰하고, 사대부 여성들의 범죄 수색 및 혼수 사치 여부, 약방기생까지 행했다고 한다.
2) 의녀제도의 의의
1) 국가 정책으로 여성 전문 의료 인력을 처음 양성했다.
2) 여성 의료인의 필요성과 역할을 인식시켰다.
3) 조산, 진맥, 침구술, 명약 (투약) 등 전문적인 직업인으로서 간호 행위를 규명했다.
4) 체계적인 정규 교육과정으로 여성 의료인력을 양성했다.
5) 연산군 시기에 약방기생으로 불려, 의녀의 사회적 지위가 낮아 현대 간호학 발전에 저해요소로 작용하였다.
6) 의녀들은 국가 소속이었기에 장소가 한정되어 있었다.
참고 자료
간호학개론, 정명숙 외 9명, 현문사,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