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과학]한국언론 10대 수난사
저작시기 1997.01
한컴오피스 (hwp) 10페이지 가격 900원
등록일 2000.06.20

다운로드
장바구니관심자료
목차
1. “동아일보” 誤植 정간사건2. “대구매일” 테러사건
3. “경향신문” 폐간사건
4. 언론윤리위원회법 파동
5. “동아일보” 광고탄압
6. 언론통폐합
7. 월간 “세대” 필화
8. “사상계”와 “씨의 소리”
9. 동양통신 군사기밀 사건
10. “민족일보” 필화
본문내용
한국언론 10대 수난사우선 필화는 원인으로 보면 두가지 유형이 있다. 첫째는 언론의 오보 또는 취재․제작과정에서 언론 자체의 과실로 일어나는 필화이고, 둘째는 언론 외부의 부당한 탄압으로 일어나는 필화이다. 필화를 이와 같이 단순화해서 분류하는 일에도 무리가 따른다. 두가지 원인이 복합적으로 상호 작용한 경우도 적지 않기 때문이다.
1. ꡒ동아일보ꡓ 誤植 정간사건
1955년 3월17일 공보실은 ꡒ동아일보ꡓ의 오식(誤植)을 문제삼아 무기정간 처분을 내렸다. 정간까지 몰고 온 오식 사건은 조판공의 작은 실수 때문이었다. 이틀 전인 3월15일자 1면에 실린 2단 짜리 기사 ꡐ고위층 재가 대기중 한․미 석유협정 초안ꡑ이라는 제목 위에 다른 기사에 쓰기 위해 채자(採字)해 두었던 ꡐ괴뢰ꡑ라는 단어를 착오로 잘못 첨가하였던, 사소한 제작상의 실수가 정간이라는 엄청난 결과를 가져온 것이다.ꡐ괴뢰ꡑ라는 단어는 원래 같은 페이지에 4단 제목으로 된 ꡐ괴뢰 휴전위반을 미 중대시ꡑ에 쓰려고 준비했던 것인데 정판공의 실수로 ꡐ고위층 재가 대기중…ꡑ 기사 제목 위에 첨가한 것을 모르고 인쇄에 들어갔던 것이다. 당시의 신문 제작은 제목을 본문과 따로 묶어 두었다가 조판 과정에서 합치는 방식이었는데 본문기사와 제목이 바뀌어 잘못 조판되는 경우가 가끔 있었던 것이다.
.
.
.
판매자 정보

kgs002

- 저작권
- 환불정책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자료에 대해 궁금한 점을 판매자에게 직접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상업성 광고글, 욕설, 비방글, 내용 없는 글 등은 운영 방침에 따라 예고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 등 서비스 불편사항은 고객센터 1:1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구매한 본인의 구매정보도 함께 표시됩니다.
2. 매시 정각마다 업데이트 됩니다. (02:00 ~ 21:00)
3. 구매자의 학교정보가 없는 경우 기타로 표시됩니다.
4. 지식포인트 보유 시 지식포인트가 차감되며
미보유 시 아이디당 1일 3회만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