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트맥주의 마케팅전략 분석
- 최초 등록일
- 2000.06.09
- 최종 저작일
- 1997.01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1. 국내 맥주시장의 기회와 위험을 정리해 보라.
2. 조선맥주의 강점과 약점은 어디에 있는지 설명해 보라.
3. 하이트 맥주는 지금까지 풀 전략과 푸쉬 전략 가운데 어느 전략에 중점을 두어 왔는가?
앞으로는 어떤 전략에 더 역점을 두어야 하는지 구체적으로 제시해 보라.
4. 맥주와 같은 기호품(preperence goods)의 마케팅 전략의 특징을 열거해 보라.
5. 경쟁사의 반격에 대응할 조선맥주의 시장전략을 구상해 보라.
본문내용
4. 맥주와 같은 기호품(preperence goods)의 마케팅 전략의
특징을 열거해 보라.
지금까지 한국 맥주시장은 동양과 조선 두 회사의 과점에 의한 강력한 카르텔 형성 속에서 유지되어 왔다. 따라서 맥주 시장은 소비자 욕구와 니즈 중심의 소비자 중심 시장이기보다는 이들 두 회사 중심의 생산자 중심시장으로 성장해 왔다. 이와 같은 생산자 중심 시장임에도 불구하고 국내 시장은 `70년대 초 전체 주류의 6%를 차지하는 미미한 수준에서 `87년, 37% 그리고 `94년에는 약 60%를 차지할 정도로 시장규모가 확대되었다. 이에 딸라 국내 맥주시장도 변화를 보여 `90년대 2세대 드라이 맥주에 이은 제 3세대 맥주라 할 수 있는 비열처리맥주 시대로의 개막을 맞게 되었다. 이와 같은 국내 맥주시장에서의 변호가 말해주듯 기존의 동양과 조선의 과점시장에 진로가 미국의 Adolf Coors사와 합작으로 진로쿠어스맥주(주)를 설립하고 `카스` 브랜드로 신규시장 진입을 기도했던 것이다. 현재 `카스`는 출시 4개월만에 10.1%의 시장점유율을 달성할 정도로 시장진입에 성공하였고, `95년 마켓쉐어 21%를 목표로 하고 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