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 통합검색(116)
  • 리포트(92)
  • 방송통신대(12)
  • 시험자료(7)
  • 논문(4)
  • 자기소개서(1)

"퇴계학맥" 검색결과 101-116 / 116건

  • 한글파일 남명 조식
    그 결과 퇴계 이황의 주리론을 종지로 하는 영남학파와 율곡 이이의 주기론을 핵심으로 하는 기호학파의 두 학맥이 형성되어 이후 조선 성리학계를 풍미했다.그러나 이러한 성리학적 흐름에서 ... 퇴계의 남명에 대한 평가3. 남명의 제자들Ⅳ. 결 론Ⅰ. ... 문학과 도학이 양립하기 힘들다는 점은 남명뿐만 아니라 퇴계 인정하고 있는 사실이다.
    리포트 | 6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3.06.06
  • 한글파일 이기론에 대하여
    이후 조 식학파는 점차 그 학맥이 쇠잔하여지고 퇴계학파는 그 학맥이 성해지면서 좌도·우도의 구별 이 사라지고 영남의 학자들이 퇴계학파에 흡수되어 마침내 퇴계학파가 영남학파의 대명사가 ... 기호학파를 율곡학파(栗谷學派)라고 하는 데 대하여 영남학파는 퇴계학파(退溪學派)라 고도 한다.
    리포트 | 10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2.06.07
  • 파일확장자 퇴계학파의 율곡 성리설 수용 양상 (논리 구조의 측면을 중심으로)
    영남퇴계학연구원 崔英成
    논문 | 38페이지 | 6,700원 | 등록일 2015.03.25 | 수정일 2017.02.01
  • 한글파일 [역사학]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의 생애와 시세계
    정약용은 학맥이나 당파에 구애되지 않고 여러 주석서들을 폭넓게 수용하였다. ... 序論서울의 한복판 남산 중턱에는 퇴계 이황과 다산 정약용 두 분의 동상이 약간의 거리를 두고 나란히 세워져있다. 바로 이들이 조선시대 전?
    리포트 | 7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6.01.12 | 수정일 2016.06.25
  • 한글파일 [순환이론] 韓國傳統經營의 循環過程
    있기 때문이다.경영개념이 『살림살이』로 압축 표현될 수 있는 논거는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선생(1478∼1545)의 여씨향약언해(呂氏鄕約諺解)에서 찾아볼수 있고 모재(慕齋)의 학맥을 ... 승계한 퇴계선생(1501∼1570)의 논리 중에서 韓國傳統經營에 대한 논거는다음가 같다.1.궁리(窮理) : 경영계탁(經營計度)성리학의 최고봉인 퇴계(退溪) 이황(李滉)선생이 66세 ... 때인 1566년에 이굉중(李宏仲)의 질문항목에 응답한 논사단칠정서(論四端七情書)에 인정지발이경영계탁(因情之發而經營計度)이라는 귀절이 있는데 퇴계선생은 다음과 같이 갈파하고 있다.마음은
    리포트 | 2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1.10.31
  • 한글파일 근기남인학사의 사론
    그들이 주장한 독립자영농의 육성은 갑오농민전쟁에서 농민군이 제시한 평균분작으로 나타났다.미수 허목으로 이어지는 근기 남인의 학맥은 조선후기 실학사상의 주류를 이루는 경세치용학파가 되었다고 ... 그러나 단순히 퇴계 이황을 계승한 것은 아니다.)안정복의 자는 백순(百順), 호는 순암(順菴), 시호 문숙(文肅), 본관 광주(廣州)로 이익(李瀷)을 스승으로 삼고 과거를 외면한 채 ... 남인(南人)은 한마디로 말하자면 퇴계 이황 선생)의 제자들로 구성된 붕당(朋黨)을 말하고), 근기 남인(近畿南人)이란 근기지방)에 근거지를 둔 남인들을 말한다.근기 남인실학파는 성호이익을
    리포트 | 9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4.07.09
  • 한글파일 [유교] 유교
    공자의 사상은 안자·증자 등을 통해서 자사에게 전해지고, 자사는 또한 자기 학문을 맹자에게 전하여 유교사상의 학맥을 형성하게 된다. ... 이러한 학문풍토는 영남지방의 서원에서 퇴계의 학풍을, 기호지방의 서원에서는 율곡의 학풍을 나았다. ... 이렇게 해서 토대가 굳어진 백운동 서원은 1550년 퇴계 이황이 풍기 군수로 부임하면서 기반을 강화하였다.
    리포트 | 11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3.08.19
  • 한글파일 [유학사상] 남명 조식의 유학사상-敬과 義를 중심으로-
    이처럼 특정한 학맥에 속하는 인물로부터 직접적인 훈도를 받지 않았다는 것은 남명으로 하여금 자유로이 학문적 기반을 닦아 나감으로써 독자적인 사상을 형성하고 독자적인 학파를 여는 개조가 ... 朝鮮의 성리학은 退溪 李滉, 南冥 曺植, 栗谷 李珥 등에 의하여 완성기를 맞이하였는데, 이 중 특히 퇴계와 남명의 성리학은 주로 嶺南 地方을 중심으로 발전하여 嶺南學派로 일컬어졌으며 ... 남명은 嶺南士林派의 학문적 전통을 계승하여 下學 위주의 實踐的 學風을 수립하고 退溪流의 理論指向的 경향을 비판하였으나, 이후 조선 儒學界의 主潮가 후자의 방향으로 흘러간 점, 셋째, 퇴계
    리포트 | 11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03.06.29
  • 한글파일 [한국정원] 남간정사
    정구(鄭逑), 유성룡도 스승 퇴계의 예를 따라 무흘(武屹)정사와 원지(遠志)정사를 건립하였다.기호학맥의 정사건립은 율곡의 석담(石潭)정사와 은병(隱屛)정사로 부터 비롯되어 그의제자 ... 이들 각 학파의 유학자들은 정사건립에 있어서도 선학(先學)의 예를 따르고 있다.영남학파의 거두 퇴계 이황은 회재 이언적의 옥산정사(玉山精舍)를 이어받아 롱운정사(瓏雲精舍)를 건립하였고 ... (庵), 방장(方丈), 려(廬)라고 부르는데, 어떨때는 정(亭), 당(堂), 루(樓)라고도 한다.조선시대의 성리학은 크게 영남학파와 기호학파로 나뉘게 되는데 이는 우연히도 따르는 학맥
    리포트 | 11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1.11.28
  • 한글파일 성리학
    그 중에서도 인간의 본성과 우주론 등을 다루는 성리학은 중국보다도 우리 나라에서 더욱 발전했으며, 이를 대표하는 인물이 퇴계 이황과 율곡 이이이다. ... 학문과 정치가 일치했던 조선시대의 특성상 이들의 학맥을 잇는 인물들이 조선 중기 이후를 지배했기 때문에 두 사람이 지니는 비중은 더욱 커진다.
    리포트 | 9페이지 | 무료 | 등록일 1999.02.01
  • 한글파일 퇴계전서
    이 가운데 정약용은 기존의 학맥에 연암파(燕巖派)의 북학(北學)사상을 접목하여 실학사상을 집대성하였다. ... 《퇴계선생문집내집(退溪先生文集內集)》 《퇴계선생문집별집(退溪先生文集別集)》 《퇴계선생문집외집(退溪先生文集外集)》 《퇴계선생문집속집(退溪先生文集續集)》 《퇴계선생자성록(退溪先生自省錄》 ... 퇴계전서(退溪全書)퇴계(退溪) 이황(李滉)의 시문집 및 부록. 영인본(影印本). 2책.
    리포트 | 4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0.06.22
  • 워드파일 [문화 지리] 안동지역의 역사문화지리학적 재해석
    고려 말에 주자학의 뿌리를 내리기 시작하였고 조선조에 퇴계 선생과 도산서원을 중심으로 한 그 문도들의 성리학이 한국 유학의 으뜸을 이루면서 한국 철학의 독자적 학맥을 형성하는 연원지가 ... 국제 퇴계학회의 활발한 있다.
    리포트 | 10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2.06.11
  • 한글파일 [한국사] 서원
    안향의 학맥은 이색(李索)과 정몽주(鄭夢周)를 거쳐 김종직(金宗直) 등 조선의 사림파로 이어졌으며, 퇴계 이황(退溪 李滉)과 율곡 이이(栗谷 李珥)에서 완성을 이룬다. ... 백운동서원에 대한 사액을 요청하는 글인 상심방백서「 沈方伯書)」에서 퇴계는 이렇게 서원의 입지를 설명하고 있다.은거하여 뜻을 구하는 선비와 도학을 강명하고 업을 익히는 무리는 흔히
    리포트 | 5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2.06.09
  • 한글파일 [인문]경남의 학문과 사상
    한편 그의 학맥은 문하생들의 당맥으로 보아서 대체로 북인 성리학이라고 할 수 있으며 특히 정인홍이 광해군때 대북정권을 구성하고 대북정권의 학적 정통성을 밝히고자 조식을 추앙하면서 더욱 ... 퇴계학파는 인 을 위주로 하였고, 남명학파는 의 를 위주로 하여 나름의 특색을 보이고 있다. ... 구명하여 이를 우리 민족의 풍습과 도의에 맞도록 바로잡아 도덕을 실천하며 의리정신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하는데도 큰 영향을 끼쳤다.남명학파(南冥學派)는 남명(南冥) 조식(曺植)이 퇴계
    리포트 | 8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0.09.18
  • 한글파일 강화학파
    「강화학파의 학맥과 사상적 전개」, 『국사관 논총』10 (1988), p250-2512. 품은 관직생활에도 그대로 나타났다. ... 학자들은, 현실에 맞는 보편성을 추구해가는 과정에서 기본적으로는 율곡의 기발이승지 (氣發理乘之) {) 김장생, 소시열 등은‘이발기수지’와 기질지성이 발(發)하는 ‘기발이승지’로 나누는 퇴계의 ... 「강화학파의 학맥과 사상적 전개」, 『국사관 논총』10 (1988), p245영조 6년(1730)에 당쟁에서 패한 이관사의 백부 이진유는 옥중에서, 그의 부친 이진검은 전라도 강진으로
    리포트 | 7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01.09.26
  • 한글파일 [철학] 사계 김장생의 예설
    특히 宋時烈의 학맥을 이은 李縡는 四禮便覽을 편찬하여 조선 후기의 실용적인 生活禮가 되었다.7. 沙溪의 家禮에삼았는데 종법은 엄밀한 신분윤리를 전제하고 있는 것이다. ... 영남학파는 퇴계의 학문에서 비롯되어 心經과 儀禮를 중시하였다면 기호학파의 예학은 栗谷과 龜峯 宋翼弼에 의하여 계도되었으며 小學과 朱子家禮를 바탕으로 하였다. ... 또 영남학파의 예학에서는 퇴계의 主敬思想을 바탕으로 君權의 강화를 목표로 삼았다면, 기호학파의 예학에서는 孔 孟 朱 三聖을 道統으로 삼아 강한 도통의식으로 朱子의 사상을 발양시키는데
    리포트 | 15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0.10.13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17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9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