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혁명
- 최초 등록일
- 2007.06.24
- 최종 저작일
- 2007.01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프랑스혁명에 대해 레포트 쓰실 분에게 유용한 자료입니다^-^
목차
머릿말
Ⅰ. 프랑스혁명의 발생배경
1. 구제도의 모순
2. 농민과 도시서민의 불만
3. 시민계급의 성장
4. 계몽사상의 영향
5. 프랑스 왕실의 재정적 위기
Ⅱ. 프랑스혁명의 전개과정
1. 삼부회소집
2. 국민의회선포
3. 바스티유감옥습격사건
4. 국민의회개혁
5. 바렌도피사건
6. 입법의회
7. 혁명전쟁
8. 제1공화당의 형성
9. 공포정치
10.총재정부와 나폴레옹
Ⅲ. 프랑스혁명의 결과
맺음말
본문내용
프랑스 혁명은 1789년 삼부회 소집으로 시작하여 1799년 나폴레옹의 쿠데타로 끝나는 10년의 기간을 가리킨다. 이러한 프랑스 혁명은 크게 보면 유럽대륙의 역사에 정치적인 소수의 왕족과 귀족에서 시민에게 옮겨지는 역사적 과정의 전화점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는 프랑스혁명의 발생배경과 전개과정 그리고 결과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1. 구제도의 모순
프랑스 대혁명은 대표적인 시민 혁명으로서 그 원인은 앙시엥 레짐(AncienRegime), 즉 혁명 전의 프랑스 사회인 구제도의 모순에 있었다. 앙시엥이란 `오래된`, `낡은`이라는 의미이며, 레짐은 `제도`또는 `체제`를 의미이다. 따라서 앙시엥 레짐은 근대 사회로 변모해 가는 상황에서 이미 낡은 제도인 봉건적 신분제도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당시 프랑스에서는 신분제가 유지되면서 3개의 신분이 존재하였는데, 그 중 소수의 특권층인 제1신분 성직자의 수는 총인구 2700만명 중에서 극소수인 10만명 정도였지만, 전국토의 1/10을 소유하고 있었으며 영주로서 봉건지대를 받고 십일조를 징수하는 특권과 면세의 혜택을 누렸다. 제2신분인 귀족 또한 40만명 정도로서 전 국토 1/5 정도의 넓은 토지를 소유하면서 농민으로부터 지대를 받았고, 교회·군대·행정의 고위직에 앉아 연금을 받았으며, 지세인 타이유(taille)와 도로부역에서 면제되는 등의 실질적인 특권을 누렸다. 이처럼 제1․2신분은 막대한 토지 소유, 교회·군대·정부요직 차지·면세 특혜 등 봉건적 특권을 향유하였다.
참고 자료
로제샤르띠에, 《프랑스혁명의 문화적기원》, 일월서각, 1998
마티에즈 A. 《프랑스혁명사》, 창작과 비평사. 1982
미셀보벨, 《왕정의 몰락과 프랑스혁명》, 일월서각, 1987
민석홍, 《서양근대사연구》, 일조각. 1975
민석홍, 《프랑스혁명사론》 . 까치. 1988
배영수, 《서양사강의》한울아카데미. 1992
A 도끄빌, 《구체제와 프랑스혁명》, 일월서각, 1989
F. 블뤼슈 외, 《프랑스혁명》, 한길사, 1999
G. 르페브르, 《프랑스혁명》, 을유문화사,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