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병 간호과정
- 최초 등록일
- 2022.02.05
- 최종 저작일
- 2021.10
- 1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조현병 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문헌고찰
2. 정신건강사정
3. 약물
4. 간호과정
5. 출처
본문내용
1. 문헌고찰
<조현병 schizophrenia>
1. 정의
조현병은 개인의 사고, 언어, 감정, 사회적 행동, 현실인지 능력을 황폐화시키는 질환으로, 예후를 예측하기 어렵고 병전 기능을 완전히 회복되는 경우가 흔하지 않다.
정신분열병이라는 용어로 사용하다가 이 병명이 갖는 사회적 편견과 낙인을 바로잡기 위해 2012년 1월 조현병이라는 개정된 명칭을 사용하게 되었다. 인종, 사회적 지위, 성별, 문화에 관계없이 발생하며, 평생 유병률은 인구의 약 1%로 추정된다. 대부분 후기 청소년기 또는 성인 초기에 발병하며, 호발 연령은 남성의 경우 15~25세, 여성의 경우 25~35세이다. 여성인 경우보다 남성인 경우가 더 높다.
예후가 좋은 경우
증상 발현이 갑작스러운 경우
늦은 나이에 발병한 경우
활성기 증상이 빨리 해결된 경우
뇌 구조의 비정상 소견이 없는 경우
예후가 좋지 않은 경우
2, 3년간에 걸쳐 점진적으로 발병한 경우
젊은 나이에 발병한 경우
최초 증상발현 후 치료 시작이 지연된 경우
음성증상이 많은 경우
2. 원인
조현병의 원인은 아직도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나 생물학적 요인과 심리사회적 요인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생물학적 요인에는 유전적 요인 (부모 중 한 사람이 조현병일 경우 그 자녀의 발병률은 5~6% 정도, 조현병 환자 형제의 조현병 평생 유병률은 10% 정도)과 신경화학적 요인 (도파민의 활성 과다, 세로토닌, 노르에피네프린, 아세틸콜린, GABA와 같은 신경전달물질과 프로스타글란딘, 엔도르핀과 같은 신경조절물질의 비정상), 생리적 요인 (바이러스에 감염, 측뇌실 확대, 제3뇌실의 팽창, 뇌실의 비대칭성과 같은 뇌의 구조적 이상)이 있고, 심리사회적 요인으로는 심리적 스트레스원과 사회 환경, 문화적 요인 등이 있다.
3. 증상과 징후
조현병의 발달은 발병 전기, 전구증상기, 정신증 활성기, 잔류기의 4단계로 분류되며, 일반적으로 시간이 지날수록 증상이 악화되었다가 만성적인 경과를 거치면서 일정상태가 지속되는 경향을 나타낸다.
참고 자료
최신 정신건강간호학 (개론,각론) 도복늠 외, 정담 미디어
정신간호총론 제8판 수정판 임숙빈 외, 수문사
정신건강간호학 현문사 2018
약학정보원
정신간호총론 수문사 2017
아산병원 “조현병”
정신간호 진단과 중재 수문사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