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혁명의 구조 요약 및 서평
- 최초 등록일
- 2021.04.30
- 최종 저작일
- 2005.06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 10,000원
- 100 page
- PDF 파일
- 상세 보기
소개글
"과학 혁명의 구조 요약 및 서평"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요약
2. 서평
본문내용
<요약>
1. 서론 : 역사의 역할
●과학자 사회는 신봉되는 믿음 없이는 연구를 수행할 수가 없다. 이러한 믿음들은 전문적인 연구를 위한 교육적 초기화를 구성해 학생들을 준비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자연에 대한 엄격하고 완고한 것들이 학생들에게 더 깊은 영향력을 줄 수 있도록 한다.
●정상과학은 과학자 사회에서 세계가 어떠한 모습을 띠고 있는지를 알고 있다는 과정에 의해 예측되어진다. 이 정상과학은 근본적인 새로움을 흔히 억제하게 되는데, 그 까닭은 그러한 새로움이 정상과학의 기본 공약들을 전복시키기 마련이기 때문이다.
●연구란 전문적인 교육에 의해 자연현상을 개념적인 상자에 넣으려는 끈질긴 시도를 말한다.
●전문적 예측과 들어맞지 않는 이상이 생길 때, 공약의 변동이 생기는데 이를 '과학혁명'이라고 한다. 새로운 가정(패러다임이나 이론들)은 기존의 가정들을 재구성하게하고 요소들을 재평가하게 만든다. 그런데 이러한 작업들은 기존의 사회로부터 강한 저항을 받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걸리는 어려운 일이다. '혁명'이 일어날 때, 과학의 세계는 결과적으로 그 질이 향상되고 새로운 것들이 늘어나게 된다.
<중 략>
<서평>
나는 이 책에서 두 가지를 가장 높게 평가하고 싶다. 하나는 ‘패러다임의 전환’이라는 말과 같이 사람의 마음을 끄는 멋진 문구를 만들어 그를 철학가 이상으로 유명하게 만든 능력이다. 다른 하나는 과학에서의 극적인 발견을 심리학의 효과와 관련시켜 연구한 그의 시도이다. 나는 쿤이 이 책에서 ‘어떤 이론이 다른 이론보다 낫다는 제약 혹은 조건을 말해주는 객관적인 진리는 없다’고 말했다 생각지는 않는다. 하지만 그는 분명 일련의 공식 내지는 논리를 통해 비슷한 결론으로 독자들을 유도했다고 본다.
고등학교를 갓 졸업하고 조금 읽어보았던 이 책은 지금 다시 보아도 읽기가 다소 어렵게 쓰여 있다. 하지만 그보다 중요한 사실은 책의 내용이 다소 실질적이지 못하다는 느낌을 주는 것이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