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불교 용어
- 최초 등록일
- 2020.10.09
- 최종 저작일
- 2010.09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인도불교 용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제 1 장
2. 제 2 장(고대 인도의 사회와 종교)
3. 제 3 장(고타마 붓다)
4. 제 4장 초기 불교 교단
본문내용
제 2 장(고대 인도의 사회와 종교)
인더스 문명 : 아리야인들이 인도에 침입하기 이전에 인도에 거주하던 원주민들이 일으킨 문명(B.C. 3000~2000)을 가리킨다. 그들은 정연하고도 장대한 도시를 건설하고 청동기 시대의 문명을 형성하였으며, 이 문명은 메소포타미아의 수메르 문명과도 관계가 있다고 추정된다.
리 그 베 다 : 4베다의 하나. 천지, 자연, 신을 찬미한 詩, B.C.1500~1200경의 인도를 나타내며 고대의 종교, 문명, 풍속, 습관등을 이해하는데 귀중한 자료로 꼽힌다. 이 책은 고대 아리안 민족이 인도 서북 산악지방에서 5河 판잡지방으로 옮겨온 때에 읊은 詩로서 028수의 시를 10권에 수록한 인도에서 가장 오래된 고전이다.
<중 략>
제 4장 초기 불교 교단
정등각(正等覺) : 제불의 무상정지를 말함, 覺이란 깨달음의 智이다. 그 智에 부정이 없는 것을 正이라 하고, 치우침이 없는 것을 등이라 한다. 또한 올바로 눈뜨고깨달은 사람을 이른다.→정변각
형전승가(現前僧伽) : 5인에서 20인 정도 까지의 수행승. →사방승가
사방승가(四方僧伽) : 사방의 어느 곳에서 온 수행승이라도 받아들이는 교단.
자자(自恣) : 안거가 끝나 맨 마지막날에는 수행승들이 서로 자기가 저지른 죄를 고백하고, 참회하여 용서를 구하는 것, 舊律에서는 7월 15일, 新律에서는 8월 15일에 해당함,
가람(伽藍) : 승가람마(僧伽藍摩) (산 sangha-alama의 음역) 또는 승가람(僧伽藍)의 약어. 중원(衆圖) 승원(僧圖) 승원(僧院)으로 한역함. 승려들이 모여 수행하는 청정한정(淸淨閑靜)한 장소, 나중에는 사원 또는 사원의 건조물의 의미로 되었다. 승니(僧泥)가 사는 사원이나 당사, 승원, 부속 건축을 구비한 것을 총칭하여 칠당가람(七堂伽藍)이라 함. (『書記』下47)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