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 이슈
- 최초 등록일
- 2019.07.15
- 최종 저작일
- 2019.07
- 1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1. 정보통신 산업이슈
1) 개 관
2) 인도의 주요ICT 수입 품목 시장內 경쟁 구도
3) 상반기 ICT 수출 실적 및 평가
4) 세계 ICT 시장 전망
5) 국내 ICT 수출 전망
6) 주요 품목 전망
본문내용
1-1. 정보통신 산업이슈
1) 개 관
최근 우리 경제를 이끌고 있는 반도체 초호황의 지속 여부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으며, 가장 큰 위협 요인으로 중국의 반도체 굴기를 지적
○ ’17년은 전세계적인 반도체 호황기였으며, 특히 한국 업체가 강세인 메모리 반도체는 시장이 61.8% 성장하는 등 호황을 주도
- 메모리 반도체는 Big 3체제 확립 이후 비교적 높은 영업이익과 매출 성장세 기록
※ Top 10 메모리반도체 기업 영업이익(억 불, IHS) : (’10) 381 → (’12) 414 → (’14) 510 → (’17) 1,009
○ 그러나 주요 시장조사 기관 및 업체들은 중국의 메모리 양산 시기인 ’19년을 반도체 공급과잉으로 인한 시장 구조 변화의 시작 시점으로 전망
- 현재 삼성전자나 SK하이닉스는 기업용 서버, 고사양 PC용 D램 등의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으나, 향후 두 업체의 D램 영업이익은 중국의 추격으로 점차 감소할 것으로 예상
※ D램(DDR4 8GB 2133/2400MHz) 가격 : (’17.12)9.6달러→(’18.6) 8.6달러로 6개월 연속 하락세
※ 낸드(64Gb 8G×8 MLC) 가격 : (’17.12)4.1달러→(’18.6) 3.6달러로 6개월 연속 하락세
□ 중국이 시장 진입에 성공하면 시장 내 공급과잉과 제2의 치킨게임까지 우려되는 상황으로 반도체 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에도 타격 불가피
○ 한국은 세계 최고 제품을 만들어 수출해야 하지만, 중국은 한국 제품의 70~80% 수준 제품만 만들어도 충분히 자국 내수 시장 소비가 가능
※ 업계 관계자는 중국이 시장을 망가뜨려도 상관없다는 식으로 경제적 이익이 없어도 반도체 굴기를 반드시 달성하려 할 것이라 예상
□ 반도체 산업의 우리 ICT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큰 만큼 위협 요인으로 부각되고 있는 중국 반도체 산업 굴기에 대한 현황 분석을 토대로 한국 반도체 산업의 방향성을 모색해야 할 시점
○ 반도체가 하락세이더라도 당분간 견조한 수준을 유지할 수 있으나 대체할 만한 산업이 부재한 상황에서 반도체 산업 내에서 해법을 찾아야만 하는 상황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