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들의 낮은 투표율과 매체
- 최초 등록일
- 2019.06.18
- 최종 저작일
- 2015.10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본문내용
1979년 10월 16일 아침 10시경, 부산대학교 구내 도서관 앞에서 약 500명의 학생들이 모여 “유신정권은 물러가라”, “정치탄압 중지하라”는 등의 구호를 외쳤고, 이러한 열기는 마산으로 번지며 1,000여 명의 경남대학 학생들이 마산시내에서 시위를 벌였다. 그렇게 부마항쟁은 일어났고, 부마항쟁이 종결된 지 일주일도 되지 않아 10·26사건이 발발하며 유신체제는 종언을 맞이한다. 5.18 민주화운동은 1980년 5월 18일, “계엄 해제”, “휴교령 철폐”를 외치던 전남대생 50여 명에 의해 시작되었다.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든 헌법으로 보장받는 선거권의 획득에 있어서 최전선에 있었던 이들은 10대에서 20대의 청년세대들이었다. 청년세대들은 정치적 여론을 주도하는 오피니언리더로서 기성세대에 대한 견제와 보수를 견제하는 중요한 역할을 도맡아 왔다. 하지만 현대에 들어서 선거가 끝나면 언론에서 보도하는 기사는 이런 청년세대들의 의견의 향방이 아니다. 현저히 낮아진 20대들의 투표율에 대한 보고이며, 비판이다.
참고 자료
[네이버 지식백과] 부마항쟁 [釜馬抗爭]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네이버 지식백과] 5·18 민주화운동 [─民主化運動](두산백과)
중앙선거관리위원회(2014). 제 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투표율 분석. 35p
[네이버 지식백과] 사전투표 [事前投票] (시사상식사전, 박문각)
류준영(2014, 5, 29).'공약 블라인드 테스트' 개발자 "3일간 밤샌 이유가…".머니투데이.
정인태 (2014). 유권자들의 소셜미디어 활용 정도가 투표결정요인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