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영 지도안
- 최초 등록일
- 2018.12.23
- 최종 저작일
- 2016.08
- 2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1. 수영에 대한 이론(수영의 역사, 시설장비, 규칙,용어,매너 익히기)
2. 물 적응하기(물 익히기, 호흡법, 뜨기 등)
3. 자유형 기초(발차기, 킥판 들고 발차기)
4. 기초기술익히기(사이드 킥, 팔돌리기)
5. 기초기술 익히기(팔 꺽기 동작)
6. 자유형 콤비네이션
7. 배영 기초(뜨기, 나아가기)
8. 기초 기술 익히기(배영발차기)
9. 기초 기술 익히기(배영 팔동작과 호흡)
10. 기초기술익히기(팔·다리동작의 결합, 종합동작)
본문내용
1주차. 수영의 역사, 시설장비, 규칙, 용어, 매너 익히기
●심동적 목표: 수영의 매너를 준수 할 수있다. ●인지적 목표: 수영의 역사, 시설장비, 규칙,용어에 대해 이해 할 수있다. ●정의적 목표: 수영의 매너에 대해 이해 할 수 있다.
수영의 역사
경기의 역사: -19세기 이후부터 수영경기가 행해졌으며, 1886년에는 전 영국아마추어수영협회가 설립되었다. 1937년에는 프로인 영국수영협회가 결성되었다.
-우리나라 경영대회의 시초는 1929년 동아 일보사가 개최한 제1회 전 조선수영대회이다. 이후 1930년 6월에 조선수상경기협회가 발족되어 9월에 제1회 전 조선수상경기대회를 개최하였다. 1936년 수영이 종합제육대회의 한 경기 종목으로 채택된 후 수영경기대회로서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우리나라 선수가 해외경기대회에 처음 참가한 것은 1958년 도쿄에서 개최된 제3회 아시아경기대회 때부터 였다.
시설 장비
1)수영장: 수영장은 직선길이가 50m와 25m인 두종류가 있다. 50m 수영장의 폭은15~25m, 코스의 수는 7개이상이며,25m 수영장의 폭은 13~20m, 코스의 수는 6개 이상으로 각기 양쪽 끝 코스의 오른쪽에 0.5m~1.0m의 여유를 남긴다. 코스의 폭은 2.2m로 한다. 수영장의 수심은 50m 수영장이 1.2m이상, 25m 수영장이 1.15m이상으로한다. 출발대의 높이는 50m 수영장의 경우 수면으로부터 50~75cm, 25m 수영장의 경우 수면으로부터 35~60cm로 하며, 대체로 60cm정도가 적당하다.배영의 출발대용 바를 수면상 30~60cm사이에 수평으로 부착하며, 코스 번호는 출발대에서 앞의 풀을 향하여 볼 때 오른쪽 끝을 제 1코스로 하고 이하 순서대로 제2, 제3코스로 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