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제도의 형성과 발달, 한국교육제도의 변천
- 최초 등록일
- 2018.11.06
- 최종 저작일
- 2016.05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 본 문서는 한글 2005 이상 버전에서 작성된 문서입니다.
한글 2002 이하 프로그램에서는 열어볼 수 없으니, 한글 뷰어프로그램(한글 2005 이상)을 설치하신 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1. 교육제도의 형성과 발달
1) 공교육제도의 등장과 그 특징
2) 학교본위 공교육제도의 동요
3) 평생교육의 등장
2. 한국교육제도의 변천
1) 근대적 학교제도의 도입
2) 일제(日帝) 강점기
3) 분단하의 교육제도
본문내용
1. 공교육제도의 등장과 그 특징
(1) 근대국가와 공교육제도의 등장
시기별 교육제도
근대국가 이전
종교가 교육을 지배 - 신의 가르침
∙ 위로부터의 가르침 - 숭배적 학습
= 교육의 신수설
∙사(私) 교육사상 지배적
절대주의 등장
교육에 대한 국가의 개입
∙ ‘라 샬로떼’, 『국가교육론』
⟶ 국민교육사상의 형성 & 제도적 구조에 영향
프랑스혁명 이후
국민교육론 (교육에 대한 국가의 지배권 주장)
VS
교육자유론 (시민들의 교육활동의 자유를 주장)
∙ 가르치는 자 > 배우는 자 : 학습자가 객체로 취급당함
18세기 말~ 19세기 전반기
‘교회로부터 자유로운’ 국민교육체제 확립 노력
∙ 프랑스 : 나폴레옹의 국가통제 교육체제
∙ 영국 : 교회와 세속 국가 간의 균형, 국민교육체제
∙ 미국 : 각 주의 책임 하에 공교육체제 발전
∙ 독일 : 피히테의 국민교육제도 구축
(2) 공교육제도의 성격
∙ 기본성격 : 보편성, 통일성
⟶ 보편적 이념과 목적을 추구하는 동시에, 교육의 운영방식에 있어 통일성을
지향하는 것
∙ 상황 : 국가는 모든 국민에 대한 통일된 보편적 교육을 시작했고, 이는 18세기중반 이후 에 생겨난 것이었다.
∙ 의의 : 통일적 보편교육제도는 시험이라는 장치를 통해 통일된 지식과 규범 학습 확인
시험과 교육의 결합으로 학력에 의한 신분이 사회적 지위를 보장
∙ 한계 : 획일주의적 사회를 지향하며, 학습의 자유와 교육의 자유가 억압됨
학력경쟁이 일어남
학교교육의 의무화 없이도 모든 사람이 몰려듬
2. 학교본위 공교육제도의 동요
∙ 배경 : 오늘날 많은 나라에서 학교본위의 교육제도를 탈피하려는 움직임
∙ 일리치, 라이머 : 학교 공교육 비판 ⟶ 학교에 참된 교육기관의 기능을 기대할 수는 없 으며, 오히려 학교가 교육적 역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 학교제도의 한계 : 획일성, 몰개성성, 순응성 ⟶ 학교의 변화가 필요
기존의 학교는 새로운 사회의 교육적 요구를 충족하기에 한계가 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