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간호교육제도의 변화과정 요약 및 4년제 일원화에 대한 생각과 근거
- 최초 등록일
- 2019.09.29
- 최종 저작일
- 2019.09
- 11페이지/
MS 워드
- 가격 2,000원

소개글
"우리나라 간호교육제도의 변화과정 요약 및 4년제 일원화에 대한 생각과 근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ⅰ. 한국의 간호교육제도의 변화과정 요약
1. 조선시대
2. 구한말
3. 일제강점기
4. 미군정기와 대한민국 정부수립기
5. 한국전쟁기
6. 한국간호 성장기
7. 1980~1999년
8. 2000년 이후
ⅱ. 4년제 일원화에 대한 필자의 생각과 그 근거
Ⅲ. 결론
Ⅳ. 참고자료
본문내용
Ⅰ. 서론
간호원 양성소로 시작된 3년제 간호교육은 1955년 이화여대에서 처음으로 4년제 간호학과가 개설되면서 현재까지도 2개의 제도로 유지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간호교육제도 이원화로 인해 3년제를 졸업한 간호사의 경우 큰 불이익을 받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동안 국내에서 3년제와 4년제 간호대학 졸업자는 75%대 25% 비율로 3년제 졸업자가 4년제 졸업자보다 많이 배출되고 있었으나 4년제에 비해 3년제는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 취업하는 것 자체가 상대적으로 어렵고 급여와 승진에도 제약이 잇따르고 있다고 한다. 또한, 3년제 간호학과 졸업 후에 다시 학사학위를 취득하는 경우가 85~90%에 이르러 시간과 비용을 낭비하는 문제점도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간호교육평가원은 2011년부터 ‘전문대학 수업연한 4년제 간호과 지정’ 을 시행하고 있고 2016년 현재, 전국 202개 간호학과 중 3년제 교육과정을 유지하고 있는 대학은 11개교 밖에 남지 않았다. 나머지 11개교도 2018년도까지 모두 4년제로 바뀔 예정이다.
Ⅱ. 본론
ⅰ. 한국의 간호교육제도의 변화과정 요약
우리나라의 간호의 발달사를 살펴보면 전격적으로 서양에 문물을 개방하기 시작한 20세기 전후를 기점으로 급격히 서양식 간호교육이 시작되었고, 이에 따라 현대적 개념의 간호가 태동되었다.
1. 조선시대 (1392~1897)
1) 조선시대의 의료
내약방, 전의감, 혜민국, 동서대비원, 제생원, 지방의 의학교수관 같은 의료기관은 설치되어 있었으나 공식적으로 간호인력을 양성한 기록X
2) 의녀제도
여성 환자를 진료할 여성 의료인을 양성할 목적으로 1406년 제생원에 의녀제도를 설치함 그 후 1460년에 제생원이 혜민서에 통합되면서 의녀교육도 혜민서에서 담당
대상 : 10~15세의 관비 신분 동녀로 국가 소유
교육내용 : 문자교육과 인성교육, 의학기술 교육 (맥경, 침법, 조제법, 산서)
활동
- 의료활동 : 간호, 조산, 진맥 침구, 명약활동 등
참고 자료
신미자, 하나선 외, 간호역사와 철학, 현문사
김문실, 김숙영 외, 간호학개론, 고문사
송지오 외, 간호교육 일원화 추진을 위한 3년제 간호전문대학과 4년제 간호대학과의 간호교육 과정 분석, 연구논문
서영승, 간호교육 '4년제 일원화' 의미, 보건뉴스, http://bokuennews.com/news/article.html?no=5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