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의 금석문
- 최초 등록일
- 2018.06.27
- 최종 저작일
- 2015.05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Ⅰ. 머리말
Ⅱ. 신라 지방의 금석문
1. 울진 봉평신라비
2. 영일 냉수리신라비
Ⅲ.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1) 개관
蔚珍鳳坪新羅碑는 1988년 경북 울진군 죽변면 봉평 2리에서 발견되었다. 현재 국보 제 242호로 지정되어있다. 약 204cm의 변성화강암으로 사면이 서로 다른 모양을 하고 있으며 비의 앞면에 글자가 음각되어있다. 당시 봉평신라비 발견 당시 알려진 신라비 중 最古의 비로 알려졌었으나 2009년에 포항에서 발견된 포항 중성리신라비가 더 이른 시기로 현존 最古의 비는 浦項中城里新羅碑이다. 봉평신라비는 아직 비석으로 판명나기 전에 농지로써 농사를 방해하던 것을 치우기 위해 옮긴 것이라 비가 위치하던 정확한 위치는 알 수 없지만 그 부근으로 추정하고 있다.
2) 비문의 내용과 의의 그리고 성격
비문은 세로로 글자를 새겼는데, 글자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으며, 매 행의 글자 수도 같지 않다. 글자 구성은 전체 10행으로 1행 31자, 2행 42자, 3행 41자, 4행 42자, 5행 25자, 6행 46자, 7행 45자, 8행 44자, 9행 40자, 10행 42자로 전체 글자 수는 모두 398자로 추정된다.
참고 자료
손환일 외 1, 『울진신라봉평비』, 서화미디어, 2010
이문기,「영일냉수리비와 울진봉평비 」『한국고대사연구의 새 동향』,한국고대사학회, 2007
권덕영, 2002, 『한국고대금석문종합색인』, 학연문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