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신을 통해 본 일본의 문화
- 최초 등록일
- 2014.07.13
- 최종 저작일
- 2013.01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1. 뇌신, 풍신 소개
2. 일본 사람이 생각하는 뇌신, 풍신의 모습
3. 풍신, 뇌신이 있는 장소 (센소지 절 / 아사쿠사 관음)
4. 느낀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동양인들은 천둥, 번개라든지 비, 바람 같은 기상현상(氣象現象)을 신의 조화라고 생각하였다. 그 예를 중국의 고대 문헌을 참고하면, 고대의 신화 지리서(神話地理書)인 《산해경(山海經)》(18권)의 <해내동경(海內東經)>에, “뇌신은 곧 용신(龍神)으로서 머리는 사람과 같은 모양을 하고 있는데, 그 배를 북처럼 울려서 천둥을 치게 한다”는 기록과 뇌신의 그림을 실어 놓았고, 당(唐)제국 시대 고금(古今)의 일화(逸話)를 모아 엮은 책 《운선잡기(雲仙雜記)》(10권)에도 “우레를 천고(天鼓)라고 하며, 그 신을 뇌공(雷公)이라 한다”는 기록이 있다.
일본 신화에서 등장하는 뇌신은 등에 있는 북으로 번개를 만드는 신이다. 하지만 원래 이 뇌신은 중국 신화에서 유래됐다. 보통 자연현상에서 번개가 치고나면 천둥소리가 들린다. 보통 우레소리라 부르는 것. 뇌신이 그 북을 치면 천둥(우레)가 들리는 것을 상징한다.
일본이나 한국이나 신화 계열은 중국의 영향력을 받은 것이 대부분이다. 일본 신화에선 대놓고 중국에서 온 신도 있다고 할 정도로 일본의 모든 신화는 중국 신화를 토대로 한다. 일본의 뇌신 역시 한족의 신화 관념으로 만들어졌다.
<중 략>
일본에 17세기에 활동하던 유명한 화가인 다와라야 소타쓰라는 사람이 그린 풍신뇌신도 병풍이 대표적으로 떠오르는 뇌신의 이미지 이다. 여기에 그려진 것은 뇌신과 풍신의 모습이다. 이 작품의 영향을 받아 100년후의 18세기에는 오카타 코린 이라는 사람이 17세기의 작품을 모작했습니다. 모작하면서도 자신의 개성, 미의식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코린이후에 사카이 호우이츠 라는 화가가 코린이 그린 그림뒤에 또 다시 그림을 그렸는데, 뇌신의 이면에는 소나기의 여름풀을 풍신의 이면에는 태풍에 불어지는 가을풀을 그리고 신들이 맡는 자연 요소를 계절에 옮겨놓아 그려져 있습니다.
참고 자료
http://dasool.com/bbs/board.php?bo_table=bo_monster&wr_id=504 (다술 닷컴 도서관 자료.)
http://stamen.tistory.com/31 (아사쿠사 검색)
http://cafe365.daum.net/_c21_/bbs_search_read(풍신뇌신도 병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