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영화vs한국영화
- 최초 등록일
- 2002.11.27
- 최종 저작일
- 2002.11
- 1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판매자jiun****
114회 판매

소개글
(일본영화 "러브레터, 4월이야기, 하나비, 비밀"과
한국영화 "편지, 시월애, 공공의 적, 중독, 봄날은 간다" 비교)
일본영화와 한국영화를 최근의 것까지 비교 분석한 내용이며,
제가 일본예술론 전공 레포트로 제출한 것입니다.
목차
< 서 론 >
< 본 론 >
1. 일본과 한국의 멜로 영화 비교
{1} "러브레터(1995), 4월이야기(2000)
vs 편지(1997), 시월애(2000)"
1) 구조의 차이
2) 카타르시스에 대한 비교
3) 결말의 비교
{2} 일본영화의 영향 <봄날은 간다 - 2001>
1) 구조의 차이
2) 카타르시스에 대하여
3) 결말의 비교
2. 같은 키워드를 가진 매우 다른 두 영화
{1} <하나비(Hana-bi)- 1997> VS <공공의 적 - 2002>
1) 구조의 차이
2) 카타르시스와 결말
{2} <비밀 - 2002> vs <중독 - 2002>
ㄱ. <비밀 - 2002>
ㄴ. <중독 - 2002>
1) 구조의 차이
2) 카타르시스의 비교
3) 결말의 비교
<결론>
본문내용
<러브레터>는 남자주인공 이츠키의 죽음도, 그의 애인 히로코의 슬픔, 그리고 그와 같은 이름을 가진 또 다른 여자주인공 이츠키의 일상도 그저 담담하게 비추고 있다. 특정한 사건과 갈등을 축으로 영화가 전개되는 것이 아니라, 편지를 주고 받는 두 여자의 일상적인 흐름을 따라 영화는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흘러간다. <4월이야기> 또한 마찬가지이다. 한국영화는 멜로물마저 강등구조나 무언가를 해결하려는, 또는 주인공들의 사랑의 결실을 보여주려는 결말을 향해 극의 흐름을 끌고 간다. 그에 익숙한 관객이라면 분명 이 영화를 보고 난 후에 황당함을 금치 못했을 것이다. 어떤 결말도 없이, 그저 과정일뿐인, 흐름일뿐인 이 영화를 좋았다고 말하는 이들은. 사실 그다지 한국적이라고는 할 수 없을지도 모른다.
이러한 일본영화에 반면.
<편지>는 '죽은 남편에게서 오는 편지'라는 소재 자체로 관객들의 눈물샘을 자극할 무기를 꺼내들고 덤비기 시작한다. "이래도 안울래?"라는 식이다. 남편이 죽고 삶의 목적을 잃어버린 아내가, 죽기 전 미리 써놓은 남편의 편지로 인해 다시 삶을 시작한다는 줄기를 축으로 한다. 그러니까 말하자면 "편지"는 아내의 남은 삶을 위한 남편의 사랑을 보여주는 매개체이다. 분명한 역할을 지닌 것이다.
<시월애> 역시 무언가를 해결하려 하는 구조를 가진다. 2년 후의 시간에서 날라오는 편지.
참고 자료
엠파스영화 http://cinema.empas.com/rec_list.html
하나비 공식 사이트 http://members.tripod.lycos.co.kr/hanabi1997/
봄날은 간다 인터넷 동호회 http://cafe.daum.net/bomnal
기타노 다케시 감독을 좋아하는 이들의 모임 http://cafe.daum.net/hanab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