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공학] 문제해결학습, 발견학습 요약
- 최초 등록일
- 2002.11.27
- 최종 저작일
- 2002.11
- 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 문제해결 학습법 >
1. J. Dewey의 반성적 사고과정
2. 문제해결 학습의 지도 과정
3. 문제해결 학습에서 교사의 역할
4. 문제해결 학습의 장·단점
< 발견학습 >
1. Bruner의 발견학습
2. 발견학습의 특징
3. 발견학습의 과정
4. 발견학습의 장·단점
본문내용
1. J. Dewey의 반성적 사고과정
이 사고과정은 관념적인 작용이 아니고 경험을 반성해서 개선해 가는 구체적인 인간행동이다.
① 곤란의 확인 : 생활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학습자가 곤란에 직면할 경우, 이 곤란을 감지하는 것이 문제를 해결하려는 의식을 갖게 되는 것이다.
② 곤란의 검토 : 직면한 곤란을 관찰하여 명확히 한다.
③ 해결방안의 수립 : 문제의 관찰이나 곤란의 검토를 통해서 문제의 성격이 명백해지면, 문제해결을 위한 활동계획을 세운다.
④ 제언, 추리에 의한 과정 : 추리작용에 의하여 가능성이 현실성으로 진전된다. 해결의 과정이 시행과 반복을 통해 객관적인 해결체제로 가까워져 가는 단계이다.
⑤ 행위에 의한 가설의 검증 : 전개과정을 통해 가설을 검증을 하는 단계이다.
2. 문제해결 학습의 지도 과정
① 제 1 단계 : 문제 인식의 단계
② 제 2 단계 : 자료수집의 단계
③ 제 3 단계 : 가설설정의 단계
④ 제 4 단계 : 실행 검증의 단계
⑤ 제 5 단계 : 일반화 단계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