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운형에 대해서
- 최초 등록일
- 2001.05.23
- 최종 저작일
- 2001.05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1.소년 시절과 그의 수학(修學)
2. 신민회 계통의 애국 계몽 활동
3. 중국에의 망명과 신한청년단의 독립운동
4. 여운형과 상해 임시정부
5. 동경행 이후의 여운형의 중국에서의 독립운동
6. 불굴의 투지로 전개한 국내 최후의 독립운동
본문내용
여운형이 협화서국에서 일하고 있을 때인 1928년 7월 초에 장탁수가 일본 와세다 대학을 졸업하고 상해에 들려 여운형을 방문하였다. 두 사람은 독립운동의 방략을 논의한 결과 불가피하게 장기전이 될 수밖에 없는 독립운동에 청년조직이 결정적으로 중요하다는 합의에 도달하고 의기 투합하여 상해에 체류하고 있던 김철, 선우혁, 한진교,조동호 등과 협의한 결과 모두 이를 찬성했으므로 위의 6인이 모여 1918년 11월에는 당원이 약 20명으로 중가하였다. 이 작은 청년 단체가 여운형의 기민한 활동으로 3·1운동 봉기를 비롯하여 우리 민족 독립운동에 매우 큰 공헌을 하게 된 것이다.
제 1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여운형은 미국 윌슨 대통령의 특사로 중국에 파견된 크레인을 방문하여 한국민족도 파리 평화 회담에 대표를 파견하고 싶으니 협조해 줄 것을 요청하여 호의적 반응을 얻어 한국민족 채표로서 김규식을 파견했다. 이러한 사실은 국내의 애국자국민들과 재일본 유학생들에게 밀사를 통하여 통보되었고, 한국인들은 신한청년당의 파견 대표 김규식의 주장이 한국 민족 전체의 의사임을 전세계에 천명하는 일을 포함하여 3·1운동을 일으킨 것이다.
참고 자료
근현대 한국 탐사 -역사 비평사-
한국 근대의 선구자와 민족 운동(신용하 著) -집문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