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국어 -고져/-과뎌의 의미 기능
- 최초 등록일
- 1999.02.12
- 최종 저작일
- 1999.02
- 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무료

다운로드
목차
없음
본문내용
1. 머리말
중세국어 '-고져/-과뎌'의 의미 기능의 변별성을 엄격한 형태소 분석과, 두 구
문상의 제약현상을 통해 설명적 충족성을 기할 것이며, 아울러 재분석된 형태소
들의 기능을 살펴보고자 한다.
2. '-고져/-과뎌'의 형태론적 특징
국어에서 '-고져/과뎌'가 15세기 국어의 모음조화 현상을 수용하지 않고 있는
점은 이들 내부에 형태소 경계가 있음을 보여준다. 한편 16세기 문헌에서 보이는
모음조화 제약의 '-고쟈/-과댜' 형태로 미루어 짐작할 수 있는 점 또한 마찬가지
이다. 즉 모음조화 현상이 후대로 내려올수록 흔들린 사실로 미루어 더 엄격히
지켜졌어야 할 규칙이 이행되지 않았으며, 오히려 통시적으로 '-고쟈 > -고져,'
'-과댜 > -과뎌'의 순서로 나타나지 않고 역으로 출현하고 있는 점 또한 이들이
하나의 ;형태소로 기능하지 않았다는 점 이외에도 달리 설명할 수가 없다.
다음으로 '-고져/과뎌'의 의미 기능을 설명하는 방식으로 형태소 분석을 가설로
제시하겠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