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배기가스에 따른 대기오염
- 최초 등록일
- 2008.11.09
- 최종 저작일
- 2007.12
- 1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우리 주변에 쉽게 접할 수 있는 오염에 관한 리포트
목차
1.대기오염
(1)대기오염의 정의
(2)대기오염의 원인
(3) 대기오염물질의 종류와 영향
2. 대기오염에 의한 문제
3. 자동차 배기가스에 의한 환경오염 현상
(1) 도심지 빌딩주변의 자동차 배기가스 분산
(2) 오존발생
4. 대기오염에 자동차가 미치는 영향
5. 대처방안
(1) 가솔린 엔진과 디젤엔진
(2) 후처리기술
(3) 신형 엔진 및 대체연료기술
6. 대기오염 향후방안
본문내용
1. 대기오염
(1) 대기오염의 정의
대기 환경 보전법에 의하면 인위적으로 배출된 오염물질이 여러 사람에게 불쾌감을 조성하거나 해당지역에 공중 보건 상 위해를 끼치고, 인간이나 동식물에 악영향을 마치며 생활뿐만 아니라 재산상의 피해를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 옥외의 대기에 인위적이고 자연적으로 방출된 오염물질이 존재함으로써 대기의 성분상태가 변화하고, 그 질이 악화하여 인간과 동식물의 생활 활동에 나쁜 영향을 줄 때 대기가 오염되었다고 한다. 원인은 공장의 가동, 운수교통의 활동, 일반 가정의 연료소비 등 사람들의 생활이나 활동에 따라 생기는 인위적인 것과 화산의 분연이나 사진 등 자연적인 것이 있다. 인위적인 오염물질은 연료의 연소, 가열용융, 소성 등의 열처리, 원자력을 이용한 핵에너지의 발생, 화학반응 및 물리적 공정에서 발생하고 배출된다. 배출된 오염물질은 대기 중에서 이송 ․ 확산되는데, 역전층이 발생하거나 풍속이 떨어지면 그 이송 ․ 확산이 방해되어 오염물질이 모여서 고 오염을 일으킨다. 배출된 오염물질이 강풍 때문에 고농도인 채 국지로 날려 와서 오염을 일으키고, 바람으로 이송되는 도중에 오염물질 사이에서 광화학반응을 일으켜 광화학 스모그를 생성시키기도 한다. 이러한 오염에 대한 대책은 공장과 같은 고정발생원을 법령으로 지정하여 배출기준을 설정하고, 사용연료의 질을 규제하며, 긴급한 경우에는 조업을 단축시키는 등 개별적인 발생시설을 규제하는 방식이 있다. 매진,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등의 매연이나, 카드뮴, 납 , 플루오르화수소, 염소 등 유해물질은 엄격한 배출기준을 설정하여 규제한다. 광화학 스모그 대책을 위한 탄화수소의 배출규제, oxidant 개선 등에도 주력한다. 개별적 발생시설의 규제만으로 환경기준의 달성이 어려울 경우에는 지역을 지정하여 그곳의 공장에서 나오는 배출총량을 규제하는 방식을 취한다. 자동차와 같은 이동 발생원에 대해서도 질소산화물, 탄화수소 등 배출가스의 농도를 규제하거나, 연료 속의 납 성분이나 황 성분을 감소시키는 방식을 취한다.
참고 자료
1. 연합뉴스 2005-08-19
2. 대한환경공학회지 26권 5호, 2004년 5월(p.619~622)
도심지 빌딩주변의 자동차 배기가스 분산에 대한 수치모델링
3. 2004년 시·도별 오존경보제 운영계획안
4. 무·저공해 자동차 사업단 (http://www.cefv.re.kr) - 2006년, 2007년 발표자료
5. http://myhome.shinbiro.com/~dwcij/
6. 인천발전연구원
7. 대기오염학, 박종길 외 지음, 동화기술교역
8. 대기환경개론, 대기 환경 연구회
9. http://www.earth.or.kr - 환경부사이트
10. 대기오염제어, 동화기술교역
11. 대기오염방지기술, 김종석 외 지음, 동화기술교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