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환경]새만금간척사업
- 최초 등록일
- 2006.11.11
- 최종 저작일
- 2006.09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새만금 간척사업에 관한 글입니다
목차
새만금 간척 사업 이란?
새만금 공사의 이점(효과) 및 문제점(피해)
1) 새만금 공사의 이점
2) 새만금 공사의 문제점
공사 추진 현황 및 계획
1) 2003년 7월 15일 이전 새만금
2) 2003년 7월 15일 이후 새만금
새만금의 현재 상태
1) 문제점 면에서의 상태
2) 공사 추진 면에서의 상태
새만금 공사 향후 계획
1) 친환경 순차적 개발
2) 새만금 신항만 건설
3) 군산 국제 해양 관광지 추진
본문내용
새만금 간척 사업 이란?
- 새만금 사업은 군산과 부안을 연결하는 33km의 방조제를 설치하여 28,300ha의 토지와 11,800ha의 담수호를 만드는 사업입니다.
사업비로는 총 3조 4,756억 원이 들어가는데 이중에서 방조제 공사비로 2조 1604억 원, 내부개발비로 1조 3,152억 원이 들어갑니다. 사업기간을 보면 외곽시설(1991~2006), 내부개발(2007~2011)을 포함해서 21년 동안 추진할 계획입니다.
새만금 공사의 이점(효과) 및 문제점(피해)
1) 새만금 공사의 이점
① 국토면적(농경지) 증가
국토면적은 앞에서 말했듯이 40,100헥타르의 면적이 생기며 1개 군에 해당하는 면적 입니 다.
인구는 많고 국토는 적은 우리나라로서는 조금이나마 인구밀도를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② 식량 생산 증가
여기서 예상되는 쌀 수확량은 연간 14만 톤으로서 우리나라 인구 150만 명이 일 년 동안 먹을 수 있는 분량입니다.
이 외에도 각종 농산물을 재배하여 곡물 자급도를 높일 수 있으며 현재 70%의 곡식을 수입 하는 우리나라의 현실을 감안하면 어느 정도 국가이익에 이바지 할 수 있는 사업 입니다.
③ 연간 10억㎥의 수자원 확보
11,800ha의 담수호를 조성하여 연간 10억㎥의 수자원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④ 상습 침수피해 지역 완전 해소
방조제 축조로 상류 만경 강.동진 강 유역 12,000ha의 상습침수지역 완전 해소 할 수 있습 니다.
⑤ 육운 개선(66km) 및 종합 관광권 형성
방조제에 도로설치로 새로운 교통망을 구축하여 부안에서 군산이 가까워지며, 위도를 비롯 한 여러 섬들이 방조제와 연결되어 이제는 배를 타고 가지 않아도 됩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