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청년빈곤에 관한 소논문

부바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24.05.22
최종 저작일
2021.12
9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2,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청년빈곤에 관한 소논문"에 대한 내용입니다.

논리적사고와글쓰기 수업에서 쓴 소논문입니다.
목차, 참고자료 등 논문 형식을 맞췄습니다.
최종성적에서 A+를 받았고 교내공모전에서 수상했습니다.

목차

1. 서론

2. 청년 빈곤의 실태와 문제점
2.1. 사회적 분위기와 인식
2.2. 빈곤의 연쇄
2.3. 비정규직 노동자
3. 청년 빈곤의 대안
3.1. 금전적 복지 정책
3.2. 심리적, 정서적 상담지원
3.3. 사회 전체의 인식 변화

4. 결론

5. 참고문헌

본문내용

‘청춘’하면 사람들은 젊은 나이의 꽃다운 푸른 시절을 떠올린다. 하고 싶은 것들을 마음껏 도전하고 성공과 실패를 맛보며 여러 경험을 해볼 수 있는 시기로 생각한다. 하지만 모든 청년들의 청춘이 말처럼 그렇게 푸를 수는 없다. 하루를 벌어 하루를 살기에도 빠듯하고 신체적, 정신적으로 고통을 받으며 거무죽죽한 삶을 살아가는 이들이 있다. 바로 ‘빈곤청년’들이다. 빈곤청년의 청춘은 푸를 수 없다.
이 보고서의 목적은 ‘청년 빈곤’이라는 사회적 문제를 다양한 원인과 연결하여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해결 방안과 전망을 탐색해보는 것이다. 청년 빈곤율은 2010년 대비 2019년에서 30대는 6.3% 포인트, 20대는 7.7% 포인트 증가했다. 이현정, 「청년층 빈곤율 10년 전보다 훨씬 나빠졌다」, 『서울신문』, 2021.09.30. https://go.seoul.co.kr/news/newsView.php?id=*************7, 2021년 11월 25일 최종검색.
청년 빈곤의 심각성이 대내적으로 드러나는 지금, 이 사태의 복합적인 원인과 결과를 이해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청년 빈곤에 대한 문제가 과거에 비해 수면 위로 올라온 편이지만 아직 이를 실질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제도는 부족하고, 다른 사회적 약자에 비해 대중의 적극적인 관심이 부족하다. 지금부터 청년 빈곤의 실태와 문제점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문제 해결을 위해 앞으로 해나가야 할 방향으로 대안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2. 청년 빈곤의 실태와 문제점

2.1. 사회적 분위기와 인식

청년 빈곤은 일시적 상태라는 사회적 인식이 만연하다. 널리 알려진 ‘아프니까 청춘이다.’와 같은 말을 운운하며 청년의 경제적, 사회적 결핍을 성장의 일부 혹은 개인의 노력 문제 등으로 치부하는 사회적 시각이 아직까지 남아있다.

참고 자료

김복순, 「비정규직 고용과 근로조건: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2016년 8월 부가조사 중심으로」, 『월간 노동리뷰』 1월호, 2017.
김지혜, 『선량한 차별주의자』, 경기도: 창비, 2019.
소금식, 『비정규직 근로자 문제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기억경영학과 석사학위논문, 2016.
전경숙 외, 『빈곤청년 인권상황 실태조사』, 평택대학교 산업협력단, 2019.
최상미·유효은·김한성, 「당사자의 목소리로부터의 빈곤 청년의 삶에 대한 탐색, 『사회과학연구』 제 26권 제 2호, 동국대학교 사회과학 연구원, 2019.
강예슬, 「발전 5개사 산재 피해 99%는 비정규직」, 『매일노동뉴스』, 2020.09.19. https://www.labor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6591.
김경수, 「코로나19로 더 좁아진 취업문...청년 90% "구직난", 『YTN news, 2021.2.11. https://www.youtube.com/watch?v=AdbfFvCtBE4.
김남준, 「청년실업률 10.7% 21년 만에 최악, 45만명 “그냥 쉬었다”」, 『중앙일보』, 2020.07.16. https://www.joongang.co.kr/article/23825797#home.
김봉구, 「한강 의대생 '100번' vs 평택항 알바생 '2번'…남다른 관심의 온도」, 『한경사회』, 2021.05.09., https://www.hankyung.com/society/article/2021050924907.
김서중, 「우울증에 빠진 대한민국 청년들, 은둔형 외톨이 청년대책 시급」, 『국제뉴스』, 2021.10.10. https://www.gukj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324830.
김성모, 「'베이비붐 세대' 부모, 산업화 수혜 누린 첫 세대… 요즘 자녀들은 취업 절벽, 『조선일보』 사회.2015.7.24.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5/07/24/*************.html.
김태균, 「삶의 행복지수, 20∼30대가 최저…불안감은 최고」, 『연합뉴스』, 2018.02.04. https://www.yna.co.kr/view/AKR2*************033.
김태호 외, 「대물림되는 빈곤…극빈층 10명 중 4명 “조부모대부터 가난”」, 『중앙일보』, 2019.1.30. https://www.joongang.co.kr/article/23334595#home.
뉴스종합, 「“너무 힘들어”…벼랑 끝 몰린 2030, 심리상담 ‘폭증’ [촉!]」, 『헤럴드경제』, 2021.09.08., http://mbiz.heraldcorp.com/view.php?ud=20210908000288.
박혜진, 「마음이 힘든 청년들 지원하는 청년심리지원서비스」, 『대한민국정책브리핑』, 2021.10.08. https://www.korea.kr/news/reporterView.do?newsId=148893975.
송은호, 「청년층 과반수 “청년정책 빛 좋은 개살구”...눈높이 맞춘 정책 필요해」, 『뉴스투데이』, 2018.06.01. https://www.news2day.co.kr/104984.
송충현, 지난해 사망자 수 30만명 넘어…“고령화 영향”」, 『동아일보』, 2021.09.28.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210928/109453318/1.
씨리얼, 「10대 때 받는 용돈 차이가 내 인생에 끼치는 영향 | 용돈 없는 청소년」, 2021.6.10. https://www.youtube.com/watch?v=tkLVrAklCuM&list=WL&index=1&t=20s.
안수찬, 「가난한 청년은 왜 눈에 보이지 않는가, 『한겨레 21』, 2011.4 https://content.v.daum.net/v/568a3f8ea2b881063b26e712.
이율, 「비정규직 748만명·임금근로자의 36%...비중 12년만에 최고(종합)」, 『연합뉴스』, 2019.10.19. https://www.yna.co.kr/view/AKR*************1002.
이축복, 「서울 마지막 달동네 백사마을 개발…750가구 일반분양, 『매일경제』, 2021.3.4. https://www.mk.co.kr/news/realestate/view/2021/03/211450/.
이현정, 「청년층 빈곤율 10년 전보다 훨씬 나빠졌다」, 『서울신문』, 2021.09.30., https://go.seoul.co.kr/news/newsView.php?id=*************7.
정혜인, 「아파트 외벽 청소 첫 출근날에‥밧줄 끊어져 20대 사망」, 『mbc뉴스』, 2021.09.27., https://imnews.imbc.com/replay/2021/nwdesk/article/6303299_34936.html.
정환봉, 「기계에 끼어 사망한 24살 비정규직 노동자 4시간 방치」, 『한겨레』, 2018.12.11.
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873971.html#csidx7d30bad794345b59e5797a9f31d04f0.
최민, 「비정규직이 더 많이 죽는 이유 있었다」, 『오마이뉴스』, 2016.06.10.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216070.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령별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2021.8.17. https://gsis.kwdi.re.kr/statHtml/statHtml.do?orgId=338&tblId=DT_1QG0046.
한영혜, 「만남 피하는 ‘빈곤 청년’…“내게 필요한 건? 1초 망설임 없이 ‘돈’”」, 『중앙일보』, 2019.12.16. https://www.joongang.co.kr/article/23657516#home.
KBS 시사직격, 『죽어야 보이는 사람들 – 2021 청년 고독사 보고서』, 2021.05.07. https://www.youtube.com/watch?v=rzRGLpkIjvI&list=WL&index=34.
KBS광주, 스물다섯, 어느 청년 노동자의 죽음」, 『KBS 광주』, 2020.06.19. https://www.youtube.com/watch?v=lgyUAtXBYO8&t=123s.
부바
판매자 유형Gold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청년빈곤에 관한 소논문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18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1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