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어습득론]학습자의 모어가 제2 언어 학습에 영향을 주는 근거와 예를 제시하여 서술하시오.
- 최초 등록일
- 2023.11.16
- 최종 저작일
- 2023.10
- 5페이지/ 한글표준문서
- 가격 1,500원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긍정적 전이
2. 부정적 전이(간섭)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및 출처
본문내용
한국어를 제2의 언어로 학습하는 외국인들의 학습 발달 과정에 있어서 학습자의 모어와의 연관성은 외국어 습득론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이다. 1960년대 구조주의 언어학과 행동주의 심리학을 배경으로 발달한 대조 분석 가설(Contrastive Analysis Hypothesis)은 학습자의 모어와 그 학습자가 배우는 외국어의 구조 및 체계를 과학적으로 비교 분석해서 정립한 이론으로서 학습자의 모어가 제2 언어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근거를 제공한다.
대조 분석 가설의 기본 내용은 모어와 제2 언어 사이에는 공통점과 다른 점이 있어서, 비슷한 부분은 좀 더 쉽게 학습하고, 차이가 나는 부분은 어렵게 학습된다. 모어가 제2 언어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전이’라 하고,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부정적 전이’ 혹은‘간섭’이라 한다. ‘간섭’은 두 언어 사이의 구조적 차이, 규범적 차이, 규칙 즉 문법의 차이에 의해 나타나며, 이 현상은 학습자가 발화할 때 생기는 오류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참고 자료
김신영(2017), L2 한국어 학습자의 언어 산출을 통해 본 관계절 사용 양상, 경희대학교 국제한국언어문화 대학원
김정윤 (2007), 영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자음 발음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소영&강현화 (2018), 언어관과 숙달도에 따른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 오류 분석,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이정희 (2008),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오류 연구-원인 분석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이진호 (2005), 국어 음운론 강의, 삼경문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