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동북아 정책과 우리의 대응
- 최초 등록일
- 2004.05.12
- 최종 저작일
- 2004.05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Ⅰ. 서 론
Ⅱ. 중국의 동북아 전략
1. 중국의 동북아 정세 인식
2. 9/11테러 이후의 중국의 동북아 인식
3. 중국의 동북아 정책 목표
Ⅲ. 현 동북아 질서
Ⅳ. 중국의 동북아 주변국과의 관계
1. 중․미 관계
2. 중․일 관계
3. 중․러 관계
4. 중․한 관계
5. 중․북 관계
Ⅴ. 중국의 동북아 정책에 대한 우리의 대응
Ⅵ. 결 론
본문내용
Ⅰ. 서론
21세기에 와서 중국은 엄청난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안으로는 지난 20여년 동안 지속적인 개혁과 개방으로 마오쩌뚱 시대와는 전혀 다른 ‘중국적 사회주의국가’로 변모하고 있으며, 밖으로는 탈냉전시대가 본격적으로 전개되면서 중국은 적극적으로 새로운 국제사회에서 중국의 이익과 위상을 확보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이미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중국은 떵샤오핑 정권 이래로 과감한 개혁과 개방을 추진한 결과, ‘사회주의 시장경제’로 전환하면서 비약적인 경제발전을 성취함으로써 세계의 주목을 받는 경제대국으로 등장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군사력을 꾸준히 증강하면서 중국은 국제사회에서 자신의 위상과 영향력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강력한 중국의 등장은 탈냉전 이후 동아시아의 새로운 국제질서가 개편되는 과정에서 미국을 비롯하여 일본 및 주변 아시아 국가들에게 새로운 도전세력으로 인식되고 있다. 과연 중국은 동아시아의 신국제질서 형성과정에서 기존의 국제질서를 점진적으로 수정 보완해 가려는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인가, 또는 이른바 미국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는 동아시아의 국제질서에 대항하면서 중국의 영향력을 확대하려고 함으로써 이 지역의 안정과 평화를 위협하는 세력이 될 것인가의 문제는 21세기의 동아시아 신국제질서의 향방을 가름하는 핵심적인 관심사라고 할 수 있다.
참고 자료
문흥호, 「중국의 21세기 한반도정책과 한 ․ 중관계」,國際政治論叢, 제39집2호, 1999.12.
권태영外,「동북아 전략균형 2002」,한국양서원, 2002.
김세웅, 「중국의 대외정책과 한국」,고려원, 1999.
http://gsaps.hanyang.ac.kr/APRC/pub/pub1_data/pub_25_1.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