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근경색 간호과정
- 최초 등록일
- 2022.06.01
- 최종 저작일
- 2022.01
- 1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이용하시는 한글프로그램 버전이 낮은 경우에는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한글 뷰어 프로그램 또는 상위버전 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심근경색 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Ⅱ. 본론
1. 문헌고찰
2. 간호과정 양식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심근경색은 심장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산소와 영양 공급이 급격하게 줄어들어서 심장 근육의 조직이나 세포가 죽는 상황을 말한다. 최근 고혈압, 동맥경화증, 고지혈증 등 만성질환으로 인해 순환기계 질병인 심근경색 환자의 수가 늘어나고 있다.
심근경색은 사망률이 높은 질병 중 하나인데요. 급성 심근경색의 경우 초기 사망률이 30%에 달하며,
사망 환자의 절반 이상은 병원에 도착하기 전에 사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치료법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환자 25명 중 1명은 퇴원 후 1년 이내에 사망하는 질환입니다. 그래서 사망률이 높은 질병을 연구함으로써 진단 및 증상과 예밥법을 미리 알아야한다고 생각한다.
Ⅱ. 본론
1. 문헌고찰
1) 정의
심장은 크게 3개의 심장혈관(관상동맥)에 의해 산소와 영양분을 받고 활동한다. 이 3개의 관상동맥 중 어느 하나라도 혈전증이나 혈관의 빠른 수축(연축) 등에 의해 급성으로 막히는 경우, 심장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산소와 영양 공급이 급격하게 줄어들어서 심장 근육의 조직이나 세포가 죽는(괴사) 상황을 심 근경색증이라 한다.
심근경색은 부위별로 전벽 심근경색증, 하벽 심근경색증, 심한 정도별로는 통벽성 심근경색증(transmu ral myocardial infarction, 전층심근경색증), 심근내막에 국한된 심근경색증(subendocardial infarction, 심내막하경색증)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또 심전도 검사 결과를 기준으로는 ST절 상승 심근경색증, 비 ST절 상승 심근경색증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1) 심근경색의 종류
➀ 급성 심근경색 : 급격히 심장의 일부가 썩는 것. 30%이상의 환자가 사망하는 중증의 병.
➁ 진구성 심근경색 : 일단 썩은 부분은 원상태로 회복되지 않음. 이것이 흉터로 남아 있게 되는 상태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수문사) - 윤은자 외(2019)
기본간호학1,2(수문사) - 송경애 외(2019)
근거기반간호 간호과정(수문사) - 성미혜 외(2019)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health.kdca.go.kr/접속일자(2022.1.8)
서울대학교 의학정보 https://terms.naver.com/list.nhn?categoryId=51007접속일자(2022.1.9)
약학정보원[웹사이트]. (2022.1.9.). URL: http://www.health.kr
건양대학교병원 – 심장혈관센터(https://www.kyuh.ac.kr/department/cardiology/sub2_1_2.html)
정명호(2016).심혈관계 건강문제 진단 및 치료 최신지견. 성인간호학회 학술대회.9-41